인천시, 월세 지원 등 1인가구 사업에 812억원 투입

입력 2025-03-18 10:04
인천시청 본관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17일 2025년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정책추진 기반 구축, 경제생활 지원, 주거안정 지원,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건강증진 및 돌봄 지원, 사회관계망 강화 등 6개 분야, 14개 정책과제, 35개 사업에 예산 812억8900만원을 투입한다.

인천의 1인가구는 지난 2023년 기준 39만5278가구로 전체 124만2168가구의 31.8%를 차지했다. 지난 2020년부터 주된 가구 형태로 등장한 뒤에는 배우자 사망 등 여러 사회적·경제적 요인들로 매년 평균 7.3%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6개 분야 중 시가 가장 큰 예산을 투입하는 분야는 경제생활 지원이다. 위기 상황 가구에 생계·의료 등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긴급복지, 보호 종료 아동의 자립 지원,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등 경제생활 지원 관련 7개 사업에는 모두 395억2900만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임대주택 공급,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및 월세 지원 등 주거안정 지원 관련 사업에는 251억9900만원이 들어간다. 또 독거노인 방문 건강관리·심리상담, 가족상담 지원, 안심폰 지원,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 등 건강증진 및 돌봄 지원을 위해서는 102억5000만원이 쓰인다.

이와 함께 시는 1인가구의 고독·고립을 방지하고 안정된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1인가구 행복 동행사업을 추진한다. 앞서 시가 지난 2022년 6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진행한 1인가구 실태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5.5%가 정서적 서비스를, 44.1%가 요리 관련 프로그램을, 45.4%가 노후 대비 경제 준비에 관한 서비스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맞춰 강화군·부평구·서구 가족센터를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지정하고 중장년 1인가구 수다살롱 등 공통 서비스와 공동장보기 등 군·구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1인가구 증가에 따라 주거·건강 문제를 비롯해 경제적 부담, 사회적 고립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며 “관련 정책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