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로 일할 수 있는 인구가 줄면서 3년 뒤인 2029년부터 취업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전망이 나왔다. 2033년까지 경제성장률 1.9%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노동 인력은 82만명에 달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2033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노동시장에 공급되는 경제활동인구는 2033년까지 10년간 24만8000명 증가한다. 과거 10년(2013~2023년)에 증가한 309만5000명에 비하면 증가폭이 10분의 1로 쪼그라들 예정이다.
취업자 수는 인력수급 전망 전기(2023~2028년)에 31만2000명 증가하지만, 후기(2028~2033년)에는 8만5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취업자 수가 본격적으로 줄어드는 시점은 2029년부터다. 고용정보원은 고령층의 비중이 늘어나 인력 공급의 제약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숫자가 줄어들뿐만 아니라 ‘일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진다는 의미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시점은 2030년으로 전망된다”며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보건업에서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고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복지업은 10년간 76만명이 늘어날 전망이지만, 소매업은 산업 구조가 온라인·플랫폼으로 전환되며 10년동안 26만4000명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2033년까지 노동시장에 추가로 유입돼야 하는 인력은 누적 85만1000명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 전망치를 1.9%로 적용한 분석 결과다. 이 정도 인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1.9% 달성이 어렵다는 의미다. 특히 전망 전기에는 연평균 5만8000명 정도 인력이 부족하지만, 후기에는 추가 필요 인력이 연 평균 10만7000명으로 대폭 확대된다.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해야 한다”며 “인력수요 변화가 분야별로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