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올해 제4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변경과 개발제한구역 해제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창원시와 함께 가칭 ‘진해신항 거버넌스’ 구성을 검토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진해신항 거버넌스는 지난달 13일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해수부 항만국장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제안됐다. 해수부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 지자체, 지역산업계, 투자유치기관 등이 참여해 첨단복합물류 기반 조성과 대규모 민간투자 유치 등을 위해 협업한다는 목적이다.
이에 따라 도는 17일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지에 대해 해수부, 창원시와 합동점검을 하고 개발여건, 향후계획을 점검했다.
지난달 25일 국토부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된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면적은 698만㎡(축구장 978개 규모)로 도내 사업지 4곳 중 최대 규모다.
개발제한구역해제를 통해 개발되는 진해신항 반경 10km 이내 육상부 3개 지구에는 물류, 제조, 연구 등 산업시설과 도로·주차장 등 기반 시설, 항만근로자·입주업체 주거 등 근린생활 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다.
부산항 신항 및 진해신항은 개발계획 중인 총 59개 선석 중에서 29개 선석이 개장돼 운영 중이지만 필수적인 항만배후단지가 부족해 시급한 확보가 요구됐다.
경남도는 항만배후단지가 적기에 공급돼 진해신항이 환태평양 복합운송의 스마트 물류허브 항만으로 거듭나고, 항만물류산업과 지역연관산업에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도는 물류처리 신속성, 안전성, 경제성과 시간적 가치 등을 고려하면 생산유발효과 약 40조725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7조5210억원, 취업유발효과가 2만6107명에 이를 것으로 기대했다.
박성준 도 교통건설국장은 ”세계 최대규모인 3만TEU급 선박이 접안가능한 규모로 조성되는 진해신항이 올해 착공을 앞두고 있다”며 “진해신항 거버넌스 구축과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를 통해 항만경쟁력을 확보하고 경남 중심의 항만기능 재편으로 경제적 가치를 재창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