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이란 등 41개국에 대해 미국 입국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 단속의 일환으로 입국 제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며 미 국무부의 내부 문서를 공개했다.
내부 문서에 따르면, 입국 제한 조치는 세 개 그룹으로 나눠 시행될 예정이다. 첫 번째 그룹은 비자 전면 정지 국가로 아프가니스탄, 쿠바, 이란, 리비아, 북한, 소말리아, 수단, 시리아, 베네수엘라, 예멘 10개국이 대상이다.
두 번째 그룹은 비자 부분 정지 국가로 에리트레아, 아이티, 라오스, 미안마, 남수단 5개국이 속해 있다. 이 나라 국민들은 사업 목적 등으로는 미국 입국이 허용되지만 이민이나 여행, 학생 비자로는 입국이 금지된다.
세 번째 그룹에는 앙골라, 벨라루스, 캄보디아, 파키스탄 등 26개국 이름이 올랐다. 이 그룹에 속한 국가들은 ‘60일 이내에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미국 입국이 금지될 수 있다. ‘결함’이란 주로 이들 국가 여권의 합법성을 둘러싼 문제들이다.
로이터는 익명을 요구한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해 내부 문서는 아직 국무부의 승인을 받은 것은 아니라며 문서에 적힌 비자 제한 국가 명단은 변경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도 국무부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다음주까지 확정된 비자 제한국 명단을 백악관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기에도 7개 이슬람 국가를 대상으로 미국 여행을 금지시켰다.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해당 조치는 취소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미국 입국을 원하는 외국인에 대한 보안 심사를 강화하도록 하는 행정 명령에 다시 서명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