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값 상승세가 감지되는 강남 3구와 마포·용산·성동구(마·용·성)를 대상으로 주택 투기세력 차단을 위한 현장 점검반을 투입했다.
서울시는 지난주부터 해당 자치구와 합동으로 현장 점검반을 편성해 허위 매물이나 가격 담합 등의 불법 행위를 단속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불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수사를 의뢰하고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아울러 주택을 계속 공급해 주택시장 안정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 시내 아파트 입주 물량을 올해 4만7000호, 내년 2만4000호로 예상한다. 2023∼2024년 신규 입주 물량 6만9000호보다 규모가 크다.
특히 올해 입주 예정 물량 가운데 30.9%인 1만4000호가 강남 3구와 강동구에 집중돼 있다. 집값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는 이유다. 동남권 주요 입주 단지는 서초구 메이플자이, 송파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 강남구 청담르엘 등이 꼽힌다.
시는 “올해는 11·12월에 대단지 입주가 집중됐는데 통상 대단지 입주는 시작 이후 6개월까지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까지 전월세 시장에서 매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최근 주택시장 상황을 고려해 적기에 양질의 물량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정비사업 공정을 촘촘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