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선제적 투자를 위해 2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삼성SDI는 이사회를 열고 시설투자 자금 확보 목적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SDI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법인 투자, 유럽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 확대, 국내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투자 등에 쓸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이번 유상증자 결정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중장기 성장 전망과 함께 시설투자에서 양산까지 2∼3년이 소요되는 배터리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보유자산 활용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삼성SDI의 시설투자 규모는 2019년 1조7000억원대에서 2024년 6조6000억원대로 약 4배 증가했다. 올해는 전방 시장 침체 속 투자 효율화 기조에 따라 전년 대비 시설투자 규모가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회사 측은 미래 기술 선점과 생산능력 확보에 필요한 투자는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가 꺾이며 배터리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감돈다. 하지만 여전히 글로벌 완성차 기업(OEM)들은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다수 시장 조사기관 역시 2025∼2030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20%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삼성SDI는 미래에 찾아올 ‘배터리의 봄’에 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확정된 미국 내 스텔란티스·GM과의 합작투자(JV)뿐만 아니라 유럽 헝가리 공장 시설투자, 전고체·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 신기술 개발·양산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은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중장기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기술 경쟁력 강화, 매출·수주 확대, 비용 혁신을 통해 캐즘을 극복하고, 다가올 슈퍼 사이클을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