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이음시티, 공사 구상안 바탕으로 민간사업자가 제안”

입력 2025-03-13 18:57 수정 2025-03-13 19:00

경기 김포도시관리공사가 추진하는 ‘이음시티’ 사업은 김포신도시와 원도심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시개발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민간사업자와의 갈등, 개발 방식에 대한 논란 등이 이어지며 지역 사회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형록(사진) 김포도시관리공사 사장을 만나 이음시티 사업과 관련한 논란의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을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김포도시관리공사가 ‘이음시티’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이음시티 사업지는 김포시민의 세금으로 기반시설이 조성된 지역이다. 공사가 참여함으로써 민간사업자에게 과도한 개발이익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공공기여를 확대해 서민 주거 안정과 대규모 기반시설 확충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민간사업자의 제안과 달리 장기동과 감정동 지역을 통합 개발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도시개발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김포신도시와 원도심을 연결하고 교통·문화·체육시설 등 필수 기반시설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민간사업자들이 공사가 사업을 가로챘다고 주장하는데, 이에 대한 입장은.
“이는 사실과 다르다. 공사는 2019년 4월 자체 비용으로 용역을 실시해 사업 구상안을 만들었고, 이를 김포시와 경기도와 협의해 2022년 2월 승인을 받은 사업이다. 이후 2022년 3월 민간사업자가 시에 공사의 신규사업지 구상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제안을 한 것이다. 현재 민간사업자들이 시에 제안했던 사업내용은 공사가 시에 신규사업을 위해 제출했던 내용과 유사하게 추진한 것이다.”

-민간사업자도 시와 협의하며 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간사업자는 수익 극대화를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의무만 이행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공사는 김포시민 전체의 이익을 고려해 공간구조, 토지이용체계, 교통체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추진한다. 이를 통해 내부 간선도로 연결, 역세권 특화, 자족용지 연계 등 도시의 연계성을 높이는 계획을 세웠다.”

-민간사업이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맞지 않는 주장이다. 사업 기간은 인허가와 토지보상 기간에 좌우되는데, 공사는 수용권을 가지고 있어 토지보상이 더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인허가 과정에서도 공사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민관공동사업에서 토지주들이 헐값에 땅을 빼앗긴다는 비판이 있다.
“민관공동사업에서는 감정가로 보상을 진행하며, 이는 현실적인 거래 가능성을 반영한 합리적인 가격이다. 감정평가는 경기도 추천, 사업자 추천, 토지주 추천 기관의 평균값으로 산정된다. 헐값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오히려 민간사업자의 과도한 협의가 부동산 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민선 8기 공약 중 민간사업 추진 내용이 있다. 이를 변경한 이유는.
“공약은 효율적으로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5호선 연장 등 상황 변화로 인해 민관공동사업 방식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이는 공약 불이행이 아니라 시민 전체를 위해 더 나은 방향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김포도시관리공사는 시민의 이익과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이번 사업은 김포시민 모두를 위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앞으로도 시민들과 소통하며 신뢰받는 공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김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