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도시 포항, 트럼프발 철강 관세 대응 고심

입력 2025-03-12 16:10 수정 2025-03-12 16:11
포항제철소 2고로 출선 모습. 포스코 제공

경북 포항시는 12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조치가 시작되자 지역 철강산업의 피해 최소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후속 조치마련에 나섰다.

철강 도시인 포항은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부과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입 증가로 지역의 철강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또 국내외 경기 침체와 철강 수요 감소로 철강업체들의 공장 가동률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지역 기업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시는 철강산업을 포함한 지역 산업의 연쇄적인 위기를 막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국가 경제의 근간인 철강산업의 회복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신속하고 실효성있는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위한 대책 마련을 국회와 정부에 강력 건의하고 있다.

특히 철강 도시들과 공동대응을 이어가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이 되면 지역 기업체는 자금 융자 지원 외에도 운영자금 지원, 시설 현대화, 기술 개발 지원, 국내외 판로 확장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을 담은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에 여야가 힘을 모아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포항철강산업단지 전경. 포항시 제공

또 철강업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올해 중소기업 이차보증금액을 1500억원으로 확대하고 철강산업 업종에 대해서는 우대지원을 하고 있다.

노후 철강산단 시설 개선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9개 사업 1868억원 규모의 산단 대개조 사업을 시행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철강산업 특별지원법 제정 등 여·야·정부가 협력해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