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시스]김민지 기자 =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 발생 14년인 11일 부산 지역 환경단체들은 현 정국이 추진하고 있는 핵 관련 정책을 비판하며 탈핵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후위기부산비상행동·탈핵부산시민연대·고리2호기반대본부는 11일 오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후쿠시마 핵사고 14년, 탈핵이 민주주의다"고 외쳤다.
단체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핵사고에 대한 책임을 무시하고 핵 오염수를 태평양으로 투기해 핵연료 잔해를 치우는 선택을 했으며 이로 인해 약 880t 잔해 중 고작 0.7g을 반출했다"며 "핵발전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탈핵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진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고리2호기 수명연장 추진을 시작으로 노후핵발전소의 수명연장을 강행했고 고준위특별법, 신규 핵발전소 추진,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 방기 등 핵 진흥 정책을 밀어 붙여왔으며 이는 현재 진행형"이라고 지적했다.
또 "추후 부산은 세계 최대의 핵발전소 밀집 지역, 핵발전소 인근 거주 인구 최대 밀집 지역 오명을 지우기는커녕 지금보다 더 많은 핵발전소와 핵폐기물을 떠안게 될 것"이라며 "더 이상 부산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스리마일, 체르노빌, 후쿠시마의 미래가 될 수도 있는 위험의 도시로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노후 핵발전소 고리 2·3·4호기 수명연장 중단하라" "지역을 핵 무덤으로 만드는 고준위특별법 폐기하라" "신규핵발전소 2기, SMR(소형모듈원전) 1기를 용인하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폐기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