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 공영 NHK,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미국을 방문 중인 무토 경제산업상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일본이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요청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미국 측에서는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확보를 중요시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어떻게 일미(미일) 국익을 '윈윈'(win-win)해 나갈 수 있을지 앞으로 긴밀한 협의를 더욱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일본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는 취지를 전달했지만 그에 대해 '그렇다면 일본을 제외하겠다'는 이야기는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카드로 동맹국까지 압박하는 가운데 무토 경제산업상은 지난 9일부터 워싱턴DC를 방문하고 있다.
한국시간 11일 새벽 무토 경제산업상은 러트닉 장관은 물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잇따라 회담을 가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 반도체,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일본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지난해 기준 일본의 대미 수출액 중 자동차가 28.3%를 차지했다. 6조261억엔(약 57조6000억 원)으로 수출 품목 중 가장 큰 규모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1%에 해당한다.
일본 기업들이 타격을 받는다면 일본 경제도 주저앉는다.
노무라 종합연구소의 기우치 다카히데 이코노미스트는 만일 미국이 일본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앞으로 2년 간 0.2%나 쪼그라들 것이라고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