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 최초 재가 중증장애인 자립욕구 실태 조사 벌인다

입력 2025-03-11 08:34

경기도는 이달부터 11월까지 31개 시·군 재가 중증장애인 1000명에 대한 자립욕구 실태조사를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재가 중증장애인은 병원이나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중증장애인을 말한다.

도는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마련과 정책시행을 위해 2016년도부터 3년 단위로 시설장애인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했으나 이번에 광역단체 최초로 도내 재가 중증장애인에 대한 자립욕구 실태조사도 추진한다.

여기에는 지역사회 자립지원 정책대상에 재가 장애인까지 확대된 데 따른 자립욕구 파악 필요성이 커졌다는 판단 때문이다.

도와 경기복지재단은 오는 17일부터 시·군으로부터 조사 명단을 확보해 5월부터 11월까지 실태조사와 결과보고서 작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확한 재가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자립욕구 실태 확인을 위해 도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모집단과 표본집단 크기를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으로 구분해 진행한다.

조사는 전문조사원이 표본으로 추출된 장애 가구를 방문해 경기도 재가 중증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보호자 특성, 직업·주거·경제활등 등 생활실태, 자립준비 여부 및 시기, 자립시 필요한 서비스 및 주거형태, 자립지원 정책 인지 등을 진행한다.

이후 심층적 분석을 위해 재가 중증장애인 중 일부를 대상으로 장애유형 및 특성을 고려해 초점 집단인터뷰를 진행하며 장애인 전문가 집단을 구성해 자문회의도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해당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경기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하나 도 복지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기존에 파악된 시설장애인의 자립욕구 외에 재가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파악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강화하겠다”며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맞춤형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