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내 이동·창수·영죽·영북·관인면 등 5개 지역민으로 구성된 포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는 19일 오후 2시께 포청시청 앞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강태일 범시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오폭사고로 포천지역의 이미지가 완전히 실추됐다"며 "70년 동안 안보희생만 강요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이 같은 피해를 막고 지역 이미지를 개선해 발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반드시 세워야한다"고 밝혔다.
현재 오폭사고가 발생한 노곡리 일대 피해 주민들 80~90%는 이주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포천시에서는 이주대책 마련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이와 함께 주민들 사이에는 재발방지를 위한 사격장 폐쇄·통합 등 근본적인 대책과 실질적인 피해보상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강 위원장은 "안전대책을 만든다고 하지만 폭탄이 떨어진다거나, 도비탄이 날아오면 막을 수 없다"며 "하루 아침에 없어질 순 없겠지만 결국엔 사격장 폐쇄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상도 실질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현재 해체된 6군단 부지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이뤄져 시에서 부지를 받는 대신에 군시설을 이전해줘야 하는데, 수천 억원이 든다고 한다"며 "70년간 각종 소음에 피해를 본 주민들을 생각하면 군이 조건없이 기부하는게 맞다. 또 주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각종 요금 감면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선길 이동면 사격장 대책위 사무국장은 "시민들이 공포감을 많이 느끼고 있다. 이번에는 실질적인 대책과 보상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사격장 폐쇄를 비롯해 군부대로 들어가는 무기와 장비의 출입을 막는 도로 점거까지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기봉 이동면 사격장 대책위원장은 "이동면의 사격피해는 보통 심각한게 아니다"며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격장 폐쇄와 함께 사격장 3개를 1곳으로 묶고, 인근 주민들은 이주를 시켜줘야한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말했다.
연제창 포천시의회 의원은 "현재 사고로 인한 피해보상은 당연한 것"이라며 "이런 사고가 또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기 때문에 근본 대책으로 사격장 폐쇄가 필요하다. 최소한 항공 사격을 금지해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포천하면 이동갈비·막걸리 인데 누가 이제 여길 오겠나. 현재 예약했던 펜션도 다 취소됐다. 장기간 이어지면 지역 경제는 다 죽을 것"이라며 "군이 지금 6군단 부지로 장사를 하고 있는데, 근본적으로 군이 포천을 대하는 태도가 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6일 이동면 노곡리 일대에서 발생한 공군 KF-16 전투기 오폭사고에 대한 피해 민가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당초 58건에서 현재까지 152건의 피해가 접수됐고, 민간인 19명과 군인 12명 등 총 3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