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찬송가를 편찬했던 한국찬송가전권위원회는 한국기독교장로회를 회원으로 받아들여 예장통합, 기독교감리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단과 한국기독교연합회(NCCK 전신)로 구성된 한국찬송가위원회가 발족하게 되었다. 이렇게 발족한 한국찬송가위원회는 1963년 3월부터 합동찬송가(1949)를 개편하여 새로운 찬송가 편찬작업을 시작했다. 각 교단에서 5명씩의 위원과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 1명이 파송되어 4년간 총 21명의 위원이 편집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국찬송가위원회의 개편원칙은 8가지였다. 첫째 중첩된 것을 단일화한다. 둘째 국가 민요 등의 곡조와 가사 등은 재검토한다. 셋째 종류별로 편찬하는 데 유의한다. 넷째 예배용 찬송을 보강한다. 다섯째 특정 예배 때에 사용할 찬송을 보강한다. 여섯째 우리 찬송(한국 가사와 곡조)을 보강한다. 일곱째 교독문을 보충한다. 여덟째 가사를 모두 검토한다.
여덟 개의 개편 원칙에 따라 개편찬송가의 편집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해졌다. 한글표지, 머리말, 차례, 찬송제목분류, 목록, 찬송가, 주기도문, 사도신경, 성경교독문차례, 교독문, 성구찾기, Index of First Lines, 출판사항 순이다.
찬송제목분류는 12개 큰 항목을 두고 세부항목으로 52개를 정하여 세심하게 배려하였다. 교독문의 경우 교독문을 보충한다는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38편에 불과하였던 합동찬송가에 비해 대폭 증편하여 85편으로 늘렸다.
개편찬송가는 예배용 찬송을 보강하여 공식 예배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예배 형식에 맞는 곡들을 주제별로 편집하였다. 합동찬송가(1949) 편찬 시 300곡 이상의 복음송을 선곡한 것에 비해 복음송을 대폭 줄이고 예배 때 사용 가능한 형식의 찬송가를 대거 채택하였다. 이것이 성결교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편찬 원칙의 여섯 번째인 우리 찬송을 보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인 창작 찬송가 27곡을 수록하여 이전 찬송집에 비해 한국인이 작사·작곡한 찬송가를 월등히 많이 편입했다. 개편찬송가에 이름을 올린 한국인 작곡자는 10명이고 작사가는 21명이다. 작곡가로서는 많게는 이동훈 곡이 5곡, 적게는 김두완 곡이 1곡 수록되었다. 작사가로서는 전영택 2곡이 최대이고 대부분 1곡씩 수록되었다. 작사가는 찬송가라는 특수성이 반영되어 대부분 신학교수와 목사들이 가사의 의미를 염두에 두고 작사하였다.
모든 찬송가집이 그렇듯이 이렇게 편찬된 개편찬송가는 칭찬과 더불어 비판을 받은 부분이 있다. 첫째로 성결교회가 먼저 불만을 강하게 제기했다.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개편찬송가는 예배 때 사용 가능한 예배 형식에 맞는 곡들을 대거 삽입하면서 합동찬송가 때 편입되었던 성결교회의 부흥성가가 상대적으로 빠지게 되었던 것이다. 성결교회는 이에 개편찬송가를 거부하자는 움직임까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결교회가 불만을 가진 이유를 살펴보면 합동찬송가에서 215곡이 빠졌는데, 그중에서 부흥성가곡이 29곡이 빠졌다. 문제는 이 29곡이 성결교회에서 애창되던 찬송가였던 것이다.
성결교회의 불만은 개편찬송가의 편집 원칙이 변화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었다. 이전 합동찬송가는 복음성가 중심으로 편집되었다면 개편찬송가는 예배형식에 맞는 찬송을 대거 수록했다. 초기 복음전파를 위한 감정적이고 회개운동 중심에서 다소 딱딱하고 경건한 예배중심의 곡으로 변화되었던 것이다. 또한 과거 내세중심적인 신앙에 초점을 맞추었던 찬송가사가 개편찬송가에는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부분이 강조된 가사로 바뀌게 된 것이다. 따라서 신유와 내적회개, 내세중심적 신앙을 강조하던 성결교단으로서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성결교회의 불만이 불거지자 한국찬송가위원회는 부흥성가에서 20곡을 부록으로 편집하여 결국 620장으로 개편찬송가를 증편하는 선에서 불만을 무마하며 편집을 마무리하였다.
두 번째로 가사의 문제이다. 핵심은 가사번역에 있어 지나치게 정직한 직역적 번역과 문법에 매이다 보니 문학적이며 시적인 맛이 떨어져 은혜롭지 못하다는 지적이었다. 문익환은 기독교사상 1974년 8월호에 개편찬송가의 번역문제에 대한 글을 기고하며 “번역은 제2의 창작인데 시에 있어서는 특히 그러함에도 개편찬송가가 원문에 지나치게 얽매여 기계적인 번역을 했던 것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렇듯 여러 위원들의 다양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번역 가사를 최종 조율하지 못한 채 출판되었다.
여러 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개편찬송가의 장점은 지금까지의 찬송가집에 비해 한 단계 향상된 수준의 편집체제를 갖추었다는 칭찬을 받았다. 첫째 많은 비판을 받았던 원문 직역의 부분이 역으로 생각해보면 정확한 가사를 전달했다는 장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예배 형식에 맞는 찬송을 대거 편입시킴으로써 절기와 의식에 맞게 찬송을 선택하기 쉽게 편집되었다. 셋째 가사를 철저하게 검토하여 이전 찬송가에 비해 당대에 맞는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시적 표현과 현대어 사용 등을 검토하여 삽입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사가 자연스럽다는 점이다. 넷째 한국인 창작곡이 27곡이나 대거 편입됨으로써 한국찬송가로서의 위상을 높였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개편찬송가는 합동찬송가에서 390편을 선택하고 한국인 창작찬송 27곡과 영미권 예배찬송가 30여편, 독일찬송가 40여편 등을 합쳐 총 620곡으로 편찬을 마무리하며 출판되었다. 편곡 작업에는 36명의 전문가가 4년간 심혈을 기울였으며 예배 중심의 찬송가로 재편하는 동시에 가사를 최신 현대어로 수정하려는 노력을 다하였다.
개편찬송가는 1983년 통일찬송가가 제작될 때 새찬송가, 합동찬송가와 함께 핵심적인 원자료로 활용되었다. 또한 완성도 높은 내용과 체계적인 구성으로 인해 통일찬송가가 출간되기까지 약 20년 동안 5개 교단의 예배사역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며 성도들의 사랑을 받았다.
김용남·한국찬송가공회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