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근로자 중 50세 이상 비율이 절반에 달해 2000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9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노민선 연구위원이 발표한 ‘중소기업 고용동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근로자의 48.6%가 50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것으로 종사자 규모별로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대다. 대기업의 고령 인력(26.4%)과 비교해도 22.2%포인트 많은 수치였다. 또한 생산연령인구(15~64세)의 50세 이상 비중(36.1%)보다도 12.5%포인트 높았다.
최근 10년간 중소기업의 고령 인력 비중은 2014년 38.0%에서 지난해 48.6%로 10.6%포인트 높아졌다. 경기 악화로 중소기업의 신규 인력 채용을 얼어붙고 있다. 지난달 11~27일 업력 7년 이상인 종업원 5인 이상 중소기업 589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의 44.4%는 ‘올해 신규 채용계획이 없거나 작년보다 채용을 축소하겠다’고 응답했다. ‘채용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32.3%,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대답은 12.1%로 각각 나타났다.
노 연구위원은 청년과 고령 인력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비임금근로자의 임금근로자로의 재취업 지원 강화, 취업 단계별로 청년 대상의 맞춤형 연계 지원,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채용 활성화, 대-중소기업 간이나 중소기업 노-사 간 상생 경영 지원 확대 등을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