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을 본부장으로 하는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빠르게 수습하겠다는 의도지만, 10일부터 예정된 한·미 연합연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방부는 전날 발생한 공군 KF-16 전투기의 오폭 사고와 관련해 사고대책본부를 발족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고대책본부는 김 직무대행이 본부장으로 참여한다. 전날 구성한 공군의 사고대책위원회와 육군의 현장통제지원본부 기능을 모두 흡수하기로 했다.
김 직무대행은 전날 합동참모본부장,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공군 참모총장 등과 이번 사고 관련 첫 화상 회의를 열었고 이런 결정을 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김 직무대행은 이날 사과 입장문도 발표했다. 그는 “군은 모든 역량을 집중해 피해 복구 및 배상 등을 통해 조속히 일상을 회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철저한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전날 오폭 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15명이 아닌 29명으로 증가했다. 민간인 15명, 군인 14명으로 이 중 20명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뒤 귀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상자 중 한 명은 어깨 골절, 한 명은 목에 파편으로 인한 상처를 입었고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 중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부상자가 전날 집계보다 늘어난 것에 대해서는 이명이나 두통, 복통, 불안증세를 호소한 사람들까지 포함된 결과라고 전했다.
국방부가 김 직무대행을 본부장으로 대책본부까지 꾸렸지만, 10~20일로 예정된 한·미 연합의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공군은 사고가 난 KF-16 등 모든 기종의 비행을 제한하기로 했다. 공중, 지상 등 실사격 훈련도 중단된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 지원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한 상황에서 한·미 연합연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향후 훈련 진행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사당의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한국의 관세가) 4배나 높다”며 “우리는 한국을 군사적으로 그리고 아주 많은 다른 방식으로 도와주는데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군사 전문가는 “가뜩이나 트럼프가 한국에 대한 군사 지원을 부정적으로 말한 상황에서 이번 사고를 빌미로 뭐하러 연합훈련을 하느냐고 말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주한미군은 이날 오폭 사고와 관련한 입장문을 통해 “계획된 지휘소 훈련(CPX)인 FS는 일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