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목사가 장례식 치르러 부임한다.’
2000년 1월, 37세의 나이로 미국 시애틀형제교회를 담임하게 된 권준 목사가 부임 당시 듣던 이야기다. 25년 전 형제교회 성도 수는 200여명, 평균 연령은 60세로 고령화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교회는 성도 수 3500여명을 기록하고 평균 연령을 40세로 낮추며 ‘시애틀 최대 한인교회’로 자리 잡았다.
지난 4일 서울 국민일보빌딩 스튜디오에서 만난 권준(62) 목사와 권명원(62) 사모는 “다음세대를 위한 과감한 선택과 이를 따라준 기성세대 성도들의 섬김과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권 목사는 부임한 지 7개월 만에 과감하게 대성전 예배당 장의자를 모두 치우고 그 자리에 체육관을 세우는 결정을 내렸다. 교회 내 공간 부족으로 다음세대가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없자 예배당을 체육관으로 리모델링해 아이들이 농구 피구 등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목적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권 목사는 “우리 교회는 예배를 드려야 하는 날이나 평일 모임을 가져야 하는 날이면 어른들이 의자를 들고 와서 세팅하는 문화가 완전히 자리 잡았다”며 “특히 예배를 드리는 날이면 매번 600~700여개 의자를 세팅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지만, 우리 교인 모두 자녀들을 위하는 기쁜 마음으로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회는 현재도 계속해서 다음세대를 타겟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권 목사는 “우리 교회는 예배를 드릴 때 익숙한 찬송가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다음세대가 좋아하는 최신 복음성가를 부르는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모르는 찬양을 익히고 부른다는 것은 사실 어른들에게는 매우 불편하고 힘든 일이지만, 교인들이 불편함을 불평하지 않고 감사로 여기며 자녀세대를 위한 변화를 수용해줬기 때문에 이런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가능했다”고 했다.
지난해엔 교인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시간대인 ‘프라임 타임’ 3부 예배를 한국어 예배에서 영어 예배로 완전히 변화시키기도 했다. 권 목사는 “이민을 오는 한인이 줄어들고 있기도 하고, 미국에서 자라나는 한인 2세와 3세는 영어를 더 편안해하는 영어권 회중이다”라며 “이들을 건강하게 세워야 한인교회에도 미래가 있다고 판단해 사람이 가장 모이는 주일 정오 예배를 영어예배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청년들도 교회의 노력을 피부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청년은 “부모님과 함께 예배를 드리기 위해 교회에 다닐 때마다 늘 ‘부모님의 교회를 따라다닌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언젠가 독립하면 나에게 맞는 교회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도 어렴풋이 했지만, 형제교회는 ‘부모님의 교회’가 아닌 온전히 ‘나의 교회’ ‘내가 다니는 교회’라는 생각이 든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고 이민자 추방 정책이 닥쳐온 가운데, 여러 한인교회가 형제교회의 사례를 참고하기 위해 탐방을 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 목사는 “이들에게 우리 교회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소개하기 위해 오는 5월 형제교회에서 ‘교회 세우는 교회’를 주제로 ‘2025 시애틀 형제교회 콘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했다.
14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2007년 처음 개최돼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단됐다가 올해 재개된다. 전통적 기성교회가 어떻게 변화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원리를 나누고, 변화와 부흥을 갈망하는 교회들에 믿음의 도전을 할 수 있도록 장을 제공한다.
권 목사는 “미국에서 사역하는 한인교회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지만, 다음세대 부흥에 관심이 있는 한국교회 목회자를 위해 줌으로도 참가할 수 있도록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글·사진=조승현 기자 cho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