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 중인 국립예술단체 통합에 대해 성급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제기되자 유인촌 문체부 장관이 “반대하면 안 하겠다”며 정책 철회 가능성을 언급했다.
5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전체회의에서 문체부의 5개 국립예술단체 이사회 통합과 통합 사무처 신설안을 둘러싼 공방이 벌어졌다.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1년 문화관광연구원의 ‘국립 예술단체 효율적 통합 운영 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를 언급하며 “(통합은) 단체별로 갈등 가능성이 있고 예술적 자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며 국립예술단체 통합 논의를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당 임오경 의원도 “현장에서 싫다고 하는데도 문체부가 통합을 추진하는 것 자체가 각 단체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뒤 추진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유 장관은 “당장 결정해서 통합하자는 것은 아니고, 앞으로 충분히 논의하면서 조율하겠다”며 “사무처를 통합해 행정적인 뒷받침을 하게 하고 각 단체는 예술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여당에서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정치적으로 오해를 받으면서 굳이 이렇게 추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어떤 운영 방식이 예술단의 본래 목적에 가장 기여할지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윤 장관은 “사실 (단체 통합은) 안 해도 된다. 문체부에 큰 이득이 있는 사안도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이어 여야 가리지 않고 우려의 목소리가 계속 이어지자 유 장관은 “의원님들이 꼭 반대하면 (통합 추진을) 안 하겠다”며 정책 철회 입장을 밝혔다.
문체부는 국립예술단체의 통합은 철회하더라도 지방 이전은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용호성 차관은 “서울예술단을 국립 아시아 예술단 형태로 확대개편해서 광주로 이전하는 부분이 아마 선도적으로 추진될 것 같고 그 이후에 다른 예술 단체들도 적절한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문화·체육·관광분야 중장기 프로젝트를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