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무원 재택 금지’ 후… “인터넷·전기도 없는 사무실”

입력 2025-03-05 10:1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 정부 근로자의 재택근무를 금지하면서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재택근무가 확대되는 동안 임대료가 올라 사무실이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곳이 있고, 사무실에 복귀했어도 인터넷·전기 등 기본적인 설비가 미비한 곳도 많아서다.

지난 4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수백만명의 연방 근로자가 미국 전역의 사무실로 복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보건복지부의 한 사무실에서는 지난주 근로자들이 돌아왔을 때 몇 시간 동안 와이파이나 전기가 완전히 공급되지 않아 불편을 겪었다.

또 댈러스의 한 사무실에서는 교육부 직원들이 바닥에 쌓인 이더넷 코드, 벽에 뛰어나온 와이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모션 센서 조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첫날 한 직원이 코드 더미에 걸려 넘어져 발에 큰 상처가 났고, 한동안 직원들은 어두운 조명 아래에서 근무해야 했다.

민감한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국방부 직원들은 사무실이 부족해 다른 팀 사람들과 함께 회의실에 갇혔다. 이들은 통화 중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전화를 걸 때마다 방을 나가야 했다. 한 HHS 직원은 “(사무실에 돌아오니) 준비와 계획이 거의 없었고 장비도 엉망이었다”고 전했다. 또 워싱턴 DC의 교육부 직원은 “컴퓨터, 펜, 헤드셋 등 기본적인 사무실 요구 사항과 기밀 업무에 필요한 개인 공간 및 회의실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직원은 CNN에 “사무실 복귀 명령이 준 것은 운전으로 인한 교통 체증과 효율성 저하뿐”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사무실 복귀 지시를 받는 일부 연방 근로자들은 돌아갈 공간 자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소식통은 연방 건물을 관리하는 국세청이 임대 계약 종료를 조율하지 않아 직원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연방 정부는 팬데믹, 부동산 임대료 증가 등을 이유로 재택근무를 확대하면서 점차 사무실 공간을 축소하고 있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연방 공무원들이 계속 재택근무를 할 수 있게 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조처를 강하게 비판하며 새 행정부에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사무실 복귀를 하지 않을 경우 대량 해고를 예고하기도 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