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주택 태양광 지원 사업’의 예산을 전년 대비 2배인 106억원으로 늘렸다.
경기도는 이러한 내용 중심의 ‘2025 전력자립 10만 가구 프로젝트 시·군 사업 설명회’를 오는 6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31개 시·군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전년과 달라진 전력자립 10만 가구 프로젝트 세부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자체 개발한 ‘경기도 주택태양광 지원시스템’ 사용 방법을 교육할 계획이다.
도는 올해 사업 예산을 지난해 51억원에서 106억원으로 2배 이상 증액하고 지원방식도 개선했다.
주택 태양광 설치를 원하는 가구는 많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도민의 자부담 비율을 30%에서 50%로 높이는 대신 더 많은 가구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했다. 지난해 2600여 가구에서 올해는 6100여 가구로 대폭 늘린 것이다.
지원 방식은 시·군 연계 사업, 경기도 단독 지원사업 두 가지로 나뉜다.
경기도 단독 지원 사업은 ‘일시납’ 또는 ‘분할납’ 중 선택할 수 있다.
분할납 지원 방식은 올해 새로 도입된 방식으로, 설치 비용을 한 번에 납부하기 어려운 도민들을 위해 7년에 걸쳐 지불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도가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50가구를 표본 조사한 결과, 가구당 월평균 전기요금이 약 7만원씩 절감돼 약 3년이면 주택 태양광 설치비용을 회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연지 도 에너지산업과장은 “경기도가 주택태양광 예산을 대폭 증액한 이유는 전기료 절감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며 “도민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국내 태양광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기후위기 대응에 경기도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