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3612억원 규모 올해 첫 추경 편성… “민생·경제 활력 집중”

입력 2025-03-04 11:01 수정 2025-03-04 12:47
박형준 부산시장은 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하고,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재정 투입 방안을 밝혔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4일 올해 본예산 대비 2.2% 증가한 3612억원 규모의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고금리 장기화, 소비심리 위축,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생 안정을 지원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회복하기 위해 조기 추진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부산시의 역할은 시민의 경제적·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데 최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며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신속하게 예산을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지방교부세(2629억원)와 국고보조금(295억원) 등 추가 재원을 확보해 민생 안정 및 지역경제 회복(1187억원), 시민 생활환경 개선(594억원)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와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 1187억원을 투입한다.

새롭게 추진하는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카드 지원 사업’을 통해 4만명의 소상공인에게 최대 500만원의 운영자금을 이자(6개월), 연회비, 보증료 없이 지원한다. 또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 확대를 통해 보증 지원을 강화하고, 2325억원 규모의 이차보전 자금 추가 지원을 통해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할 방침이다.

지역 내 소비 활성화를 위해 동백전 발행 규모를 1조 4000억원으로 확대하고, 6월까지 캐시백 한도를 50만원으로 늘리고 혜택을 5%에서 7%로 상향 조정한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골목상권을 지키고 내수 소비를 촉진하는 것이 지역경제를 회복하는 핵심”이라며 “동백전 캐시백 확대와 전통시장 소비 진작 사업이 지역 상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 진작을 위한 전통시장 이용 상품권 환급 사업도 신규 추진한다. 5만원 이상 구매 시 1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해 전통시장 내 소비 증가를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중소기업 경영 지원과 기업 환경 개선에도 328억원을 투입한다.

중소기업의 금융 부담을 줄이기 위해 2675억원 규모의 운전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수출기업 물류비 지원 사업을 확대해 해상운임 부담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부산 청년 취업 성공 풀(FULL) 패키지 지원사업을 새롭게 도입해 맞춤형 일자리 매칭을 강화하고, AI 기반 채용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지원할 방침이다.

박 시장은 “중소기업과 청년 구직자 간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하고, 기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열쇠”라며 “일자리 창출과 산업 인프라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시는 594억원을 투입해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재난 예방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민 편의를 위해 15분 도시 기반 시설 확충, 장애인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 건립, 저소득층 문화이용권 지원 등 복지 서비스도 확대한다.

부산 남항 서방파제 재해취약지구 정비, 도시철도 노후 차량 개선 등 재난 예방 시설 투자도 포함됐다. 또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통해 맑은 물 공급과 수질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민선 8기 시정의 핵심 과제”라며 “이번 추경 예산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개선과 안전 강화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추경 예산이 부산시의회에서 의결되는 즉시 신속히 집행해 침체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민생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방침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