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민주주의 위기, 선관위 불신 탓…해법 필요”

입력 2025-03-02 14:51

오세훈 서울시장은 2일 “선거관리위원회 개혁은 대증요법이 아니라 근본 해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오늘날 민주주의의 위기는 선관위에 대한 불신과 갈등에서 잉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오 시장은 “부정 채용, 감사 거부 등 제어장치 없이 독주하는 작금의 시스템이 낳은 결과물이 부실 선거 논란”이라며 “대부분 선관위가 자초한 일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렇다 보니 국민은 선거에 의구심을 품게 되고 그로 인해 극심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오 시장은 “꼬인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근본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핵심 열쇳말은 선거 행정의 ‘개방’, ‘견제’, ‘효율’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법관의 선관위원장 독점’은 삼권분립의 원칙이 맞지 않다”며 “대법관이 중앙선관위원장을, 지방법원장이 시도 선관위원장을 겸임하는 관례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그러면서 “선관위원장이 상근하지 않는 탓에 지휘권에 공백이 생기고, 그 틈새에서 선관위 내부에 ‘그들만의 성’을 쌓을 여지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오 시장은 “선관위에 부패가 발생해도 선관위원장이 법관이기 때문에 공정한 판결을 기대할 수 없다”며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선관위원장을 선거·행정 전문가와 타 기관 공직자 등에게 개방하고 그중 최선의 인사를 기용해 안정적 임기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또 “선관위가 독립성만 강조하면서 ‘견제받지 않는 왕국’이 된 비정상 상황도 정상화해야 한다”며 “선관위는 감사원의 감사를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립적 감사 기구를 두는 것도 방법”이라며 “서울시가 광역지자체 최초로 청렴담당관 조직을 신설한 점을 모티브로 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부실 선거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효율화가 시급하다”며 “사전투표 및 전자개표 시스템을 개선하고, 선거 인력에 대한 능력 평가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