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고효율' 내세운 中딥시크 "추론시스템 이익률 545%"

입력 2025-03-02 13:21
(FILES) This illustration photograph shows screens displaying the logo of DeepSeek, a Chines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y that develops open-source large language models, and the logo of OpenAI's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hatGPT on January 29, 2025 in Toulouse, southwestern France. A simple handshake between President Xi Jinping and once-shunned entrepreneur Jack Ma sent Chinese tech stocks booming in recent weeks of February 2025 as it was interpreted as the latest sign the sector is being brought in from the cold -- though experts advise caution. DeepSeek was praised by authorities, with its founder also present at the high-level business symposium where Xi met Ma in Beijing nearly two weeks ago. (Photo by Lionel BONAVENTURE / AFP) / To go with AFP story China-economy-politics-tech-AI, ANALYSIS by Peter Catterall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저비용 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로 이목을 끈 중국 딥시크(DeepSeek)가 500% 넘는 이익률을 낼 수 있다는 자체 평가를 내놨다.



2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딥시크 공식 개발팀은 전날 개발자 플랫폼 깃허브에 올린 딥시크-R1/V3 추론 시스템 기술 설명에서 처리량과 지연 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딥시크의 이론상 하루 총수입이 56만2천27달러(약 8억2천만원), 일일 총비용은 8만7천72달러(약 1억3천만원)라고 밝혔다. 비용 대비 이익률이 545%인 것이다.
 

다만 개발팀은 V3 모델의 사용 비용이 R1 모델보다 낮은 데다 일부 서비스가 웹·애플리케이션에서 무료로 유지되고 있고, 개발자들은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더 적은 돈을 내고 있어 실제 이익률은 이론상 이익률보다 훨씬 낮을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딥시크가 추론 작업의 수익률 정보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로이터는 "이번 발표는 지난 1월 (딥시크) R1 및 V3 모델로 구동되는 웹·애플리케이션 챗봇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급락한 중국 바깥 지역 AI 주식을 더 흔들 수 있다"며 "이런 매도세는 부분적으로는 딥시크가 모델 훈련에 쓴 칩에 미국 경쟁업체 오픈AI보다 훨씬 적은 600만달러(약 88억원)도 안 되는 돈을 지출했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 투자사 멘로벤처스의 책임자 디디 다스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딥시크가 공개한 이론상 이익률 수치를 두고 "이것이 미국에 있었다면 100억달러(약 14조6천억원)가 넘는 가치의 회사였을 것"이라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딥시크는 일각에서 낮은 운영 비용 등에 대한 의구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오픈소스 코드와 추론 시스템 개요 등을 잇따라 공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