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위한 행정대집행 추진

입력 2025-02-27 14:07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 전경. 해상 및 육상 계류시설을 비롯해 요트클럽동, 전시시설, 상업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5월 재개발 착공을 앞두고 행정대집행이 추진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다음 달부터 선박 정리 등 행정대집행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오는 5월 착공을 앞두고 부산시가 강력한 정비 조치에 나선다.

시는 지난해 4월부터 요트경기장 일제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무단 계류 및 허가 기간이 만료된 선박 소유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자진 이동과 퇴거를 안내해 왔다. 또 간담회 및 주민설명회를 통해 입주업체의 자진 퇴거가 불가피함을 알리고, 허가 선박의 계류 가능 기한도 사전 통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진 이동이 이뤄지지 않은 ▲무단 계류 ▲육상 허가 기간 만료 ▲변상금 체납 선박에 대해서는 행정대집행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다음 달부터 무단 계류 선박 78척을 1차로 정리하고, 5월부터 육상 허가 기간 만료 선박 75척을 대상으로 정리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명도소송 중인 입주업체 10곳은 법원의 결정에 따라 강제퇴거 및 원상복구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행정대집행 이후에는 법령에 따라 ▲임시 보관 ▲행정대집행 비용 징수 ▲매각·폐기 처분 등의 절차가 진행된다. 명도소송을 통해 퇴거한 입주업체에 대해서도 강제집행 비용이 징수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조치가 재개발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임을 강조했다. 특히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공공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유장 부산시 문화체육국장은 "수영만 요트경기장이 글로벌 해양레저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재개발 착공 전 선박 정리가 필수적"이라며 "이미 이동 대상 선박 236척 중 83척이 자진 반출된 만큼, 남은 선박에 대한 정비 일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요트 소유자 및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 조감도. 새롭게 조성될 해양문화 복합공간은 요트 계류시설, 전시시설, 요트클럽동, 상업시설 등이 들어선다. 부산시 제공

◆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은…

시와 아이파크마리나는 지난달 20일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민간투자 사업’ 변경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40년 만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번 재개발 사업은 2014년 최초 실시협약 체결 이후 장기간 지연되었으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사업 재개에 합의했다.

요트경기장에는 계류시설 567척(해상 317척, 육상 250척)이 조성되고, 전시시설, 요트클럽동, 상업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기존 계류시설보다 129척이 추가되어 증가하는 해양레저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각종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고, 환경영향평가 및 교통영향평가 등의 행정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육상공사는 오는 5월, 해상공사는 내년 2월 착공이 목표다. 시는 공사로 인한 교통체증 해소를 위해 해운대해변로 확장 공사도 병행 추진할 예정이다.

재개발 후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으로 조성되며,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열린 공간과 쾌적한 수변 환경이 마련된다. 또한, 다양한 문화 이벤트가 열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문화와 휴식, 쇼핑이 결합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