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 아프리카 항로 2만4000TEU급 확대…기항 선박 대형화

입력 2025-02-27 12:25
광양항 전경. 공사 제공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세계 1위 컨테이너 선사인 MSC(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가 광양항~아프리카 항로(Africa Express)에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 결정을 통해 광양항의 글로벌 물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광양항의 지속적인 항만 기반 확장과 맞물려 선박 대형화에 발맞추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3월초 MSC 딜레타(DILETTA)호가 광양항에서 출항해 닝보, 상하이, 난사, 셔코우, 붕따우, 싱가포르, 비지냠(Vizhinjam, 신규 기항지) 등을 거친 후 서아프리카의 테마(Tema)와 로메(Lome) 등으로 항해한다.

이후에도 MSC TURKIYE(2만4346TEU), MSC TESSA(2만4116TEU) 등이 아프리카 항로에 순차적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MSC의 아프리카 항로는 광양항에서 2018년 신규기항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인 선박 대형화를 거쳐 왔다. 당시 1만3000TEU급 선박으로 운영되던 노선은 점진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1만6000TEU급을 거쳐 이번에 2만4000TEU급 초대형 선박까지 확대됐다.

광양향의 대형 선박 수용 능력과 인프라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광양항 기항 선박의 대형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미주, 유럽 등 원양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8000TEU급 이상 광양항 기항 선박은 2022년 247척에서 2024년 377척으로 53% 이상 늘었다. 대형 선박 입항 척수가 꾸준히 상승했다.

선박 대형화 추세는 광양항이 지속적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초대형 선박의 원활한 접안을 위해 최적의 운영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공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공사는 선박 대형화에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9년 개장을 목표로 자동화 컨테이너부두를 구축할 예정이다.

자동화부두는 자동화 하역 장비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최첨단 항만 인프라로, 초대형 선박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박성현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은 27일 “금번 세계 1위 선사의 2만4000TEU급 초대형선 기항은 글로벌 해운시장 변화에 발맞춰 항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 항만을 차질 없이 추진해, 광양항이 미래 물류를 선도하는 글로벌 종합항만 리더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양=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