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소 86세'…고령 접어든 일제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급감

입력 2025-02-27 09:57
[연합뉴스 자료사진]
(광주=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된 피해자들이 고령화하면서 생존자의 수가 가파르게 줄고 있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의료지원금을 받는 징용 피해자 수는 지난달 1일 기준 640명(남성 574명·여성 66명)으로 집계됐다.
 

행안부는 '대일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약칭 강제동원조사법 시행령)에 따라 2008년부터 생존자들에게 80만원의 지원금을 해마다 지급하고 있다.
 

수급자 현황을 토대로 생존한 징용 피해자 수를 추산하고 있다.
 

수급자는 2015년 9천938명으로 1만명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 904명으로 9년 만에 1천명에도 못 미쳤다. 


연도별로 봐도 2020년 3천140명, 2021년 2천400명, 2022년 1천815명, 2023년 1천264명 등으로 급격히 줄었다. 
 

올해 수급자 가운데 최연소는 86세, 최고령은 109세이며 100세 이상 초고령 수급자는 172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119명, 서울·전북 70명씩, 충남 59명, 경남 56명, 전남 55명, 경북 48명, 부산 30명, 인천 25명, 충북 23명, 광주 22명, 강원 21명, 대구 20명, 대전 14명, 세종·울산 3명씩, 제주 2명 등이다.
 

징용 피해자 지원단체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은 "매년 80만원의 의료지원금은 과거 피해 정도에 비하면 너무 적다"며 "여전히 사죄하지 않는 일본과 광복 80년에 이르는 올해까지 이를 방치한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