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에 놀란 정부, 1조 들여 독자 AI 모델 개발 나선다

입력 2025-02-25 17:39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중국의 저비용·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 돌풍을 계기로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이를 기반으로 1조원 규모의 범용인공지능(AGI) 연구개발(R&D) 등을 추진하고 독자적인 AI 모델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향후 국가 AI 역량 강화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최근 딥시크 돌풍으로 인해 글로벌 AI 패권 경쟁은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는 AI 데이터센터에 약 730조원을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등 정책적 지원 강화 의지를 밝혔다. 중국은 딥시크로 대표되는 효율적 알고리즘 기반의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절대적 우위에 있는 미국·중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의 AI 역량이 싱가포르·영국·프랑스 등과 글로벌 3위권에 위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자체 AI 기반모델을 10개 보유하는 등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우리나라가 보유한 AI 컴퓨팅 자원은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2023년 기준 메타·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업이 15만개 보유하고 있는 H100 GPU(그래픽처리장치)의 국내 전체 보유량은 약 2000개에 그친다.

자체 AI 모델 성능도 미국과 1년 이상의 격차가 나고 있고, 첨단 AI 알고리즘 혁신을 주도할 고급인재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AI 분야의 핵심 자원인 GPU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3단계에 걸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 나서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2026년 상반기까지 첨단 GPU 1만8000장 분의 AI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해나간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올해 중 GPU 1만장 확보를 추진하고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조기 가동한다는 목표다. 내년 상반기에는 나머지 8000장 규모의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를 구축한다.

이렇게 가동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통해 중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비중 5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AI를 조세특례제한법 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첨단 AI R&D와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도 강화한다. R&D에는 30~50%, 투자에는 15~35%의 세제 지원을 할 방침이다. AI데이터센터 입지·시설 관련 제도도 개선해 민간투자를 촉진한다.
또 과기정통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등 인프라 확충 이후 한국만의 독자적인 AI모델 경쟁력 확보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 1조원 규모의 범용인공지능(AGI) R&D를 추진해 초거대언어모델(LLM)을 넘어 차세대 AI 원천 기술을 확보한다는 게 골자다.

AGI R&D 사업은 지난 1월24일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2026년부터 2032년까지 총 7년 동안 9313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하게 된다.

이에 더해 도전적인 AI스타트업 성장지원 자금을 확대하고 글로벌 진출 거점 신설, AX·AI-반도체 기업 현지 실증 지원 등도 추진한다.

차세대 AI 모델 개발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분야별 특화 데이터 및 고품질 원본데이터 혁신 생태계 조성 ▲글로벌 AI프론티어랩 확대 ▲기업+대학 협력형 AX 대학원 설립을 통한 핵심인재 양성 ▲해외 석학 등 글로벌 AI 핵심인재 유치 대학·기업에 연구비 지원 확대 검토 등도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AI컴퓨팅 인프라와 자체 AI모델로 AI 전환을 가속화할 선도프로젝트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른바 '지속가능한 AI 전환'에 나선다는 목표다.

대표적으로 의료 분야의 맞춤형 치료 서비스 확산, 교육 분야의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문화 분야의 창작활동 보조 AI 서비스 개발, 학술 분야의 학술 활동 지원 AI 서비스, 재난·안전 분야의 AI CCTV 활용성 제고 등이 선도프로젝트로 추진된다.

아울러 'AI안전연구소'를 중심으로 주요국과의 AI 안전공조·연대를 강화하고, 민간 중심의 AI 신뢰·윤리 확보·확산 촉진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국가AI위원회를 중심으로 이같은 AI 전략의 세부추진 방안을 논의하고 이행 점검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