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남시가 맞춤형 교육 지원을 통해 올해 서울 주요 대학 및 의약학계열 진학에서 역대 최고의 성과를 달성했다.
시에 따르면 올해 지역 내 고등학교에서 서울대 15명, 연세대 28명, 고려대 26명을 포함해 서울 주요 10개 대학에 245명, 의약학계열에 41명이 합격하며 총 286명의 학생이 전국 우수 대학과 학과에 진학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서울 주요 대학 합격자 수가 35명 증가한 데 더해 의약학계열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결과다.
이 같은 성과는 시가 추진한 다양한 교육 지원 사업의 결실로 분석된다. 시는 2023년부터 고교학력향상사업과 고교특성화사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강화하고, 광주하남교육지원청의 고교학점제 운영 지원사업 및 하남시의회의 예산 지원 등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교육 환경을 대폭 개선해왔다.
시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기 위해 대학 캠퍼스 투어와 기업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서울대를 포함한 11개 대학에서 약 2785명의 중·고등학생이 캠퍼스를 방문하며 학습 의욕을 다졌고, 삼성전자뮤지엄센터 등 5개 기업체를 견학한 초·중·고 학생 597명은 실제 업무 환경을 경험하며 진로 탐색의 기회를 가졌다. 이 프로그램들은 하남교육재단 주도로 진행돼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역 내 고등학교에 총 8억원을 균등 지원하는 고교특성화사업은 동아리 활동, 창의융합 활동 등 학교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들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 더불어 고교학력향상사업에서는 총 6억원을 투입해 자기주도학습 및 방과후 학습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학력 향상에 기여했다.
시는 초·중·고 전반에 걸쳐 다양한 교육 지원을 확대하며 글로벌 인재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영어독서 프로그램 지원으로 학생들의 영어 활용 능력을 강화하고, 학부모 대상 진로·진학 교육도 병행해 사교육비 부담 경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는 온라인 통합 교육 플랫폼과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해 개인 맞춤형 진로 설계와 실질적인 조언 제공에 나선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마을체험학교와 체험버스를 활용한 직업군 탐색도 눈길을 끈다. 학생들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 활동으로 지역사회 이해를 넓히고 다양한 직업군과 산업 분야를 접하며 미래를 설계할 기회를 얻고 있다.
이현재 시장은 “이번 성과는 학생, 학부모, 학교, 교육지원청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더 나은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남시는 광주하남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이라는 핵심 과제를 앞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회와 경기도교육청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며, 교육지원청 설립이 완료되면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 행정 서비스 제공과 함께 교육 자치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남=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