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등 3개소 그린벨트 해제

입력 2025-02-25 14:48

울산의 숙원사업인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대폭 해제되어 시가 추진하는 미래 신산업 육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울산시는 25일 국토교통부 국무회의 심의 결과 ‘개발제한구역(GB) 국가 지역전략사업’에 3개소가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울산은 국가 지역전략사업에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280㎡만) 조성 사업,울산 유(U)-밸리 국가산업단지(360만㎡) 조성 사업,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68만㎡) 조성 사업 등 3개소가 선정됐다.

‘지역전략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특화산업 육성 등 균형발전 기여도가 큰 지자체 주도 사업으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및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된다.

이들 3개 산단 사업은 대상 부지 중 대부분이 환경평가 1~2등급에 해당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이번 지역전략사업에 선정되면서 환경평가 등급에 구애받지 않고 개발제한 구역 해제가 가능해졌다.

지역별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에서도 제외돼 울산시는 이들 사업을 진행하더라도 현재 개발제한구역 해제 여유 비율 60%를 유지하게 된다.

그린벨트 규제혁신은 지난해 2월 열린 ‘울산 민생토론회’에서 울산시의 건의로 시작됐다. 울산시는 지난 5월 국토교통부에 후보사업을 신청하며 사업 적정성 검증 등에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은 기존의 테크노 산업단지를 남구 옥동과 두왕동 일원까지 확대해서, 울산의 미래 먹거리인 ‘수소 산업의 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GB가 해제됨에 따라 울산체육공원, 청년 창업 공간 등 공공시설을 확충해 정주 여건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차전기 특화단지를 위해 온산국가산단을 확장하는 유(U)-밸리 국가산업단지조성사업에는 석유화학이나 비철금속같은 기존 주력산업에서 이차전지 원재료가 생산되는 만큼, 근거리에 특화단지를 조성해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산업단지가 전무한 중구에 저탄소,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그린 스마트 산업단지를 만들어서, 중구의 경제기반을 강화하고 청년 인구 유입에 기여할 계획이다.

울산시는 사업별로 GB 해제 절차를 신속 추진해 본격적인 대규모 산업용지 확충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3개 산단 조성 사업을 통해 약 20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3만여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후보지는 사업 내용을 보완해 국토교통부와 사전협의 절차를 진행 한 후 울산시 해제권한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