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약 17㎢ 규모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할 기회를 확보했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약 6배에 달하는 규모다.
부산시는 국토교통부가 공모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 예외 사업인 ‘지역전략사업’에 해운대 첨단사이언스파크, 제2에코델타시티, 동북아 물류플랫폼 등 시가 제출한 4개 사업 중 3개가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로써 해운대구 53사단 일원, 강서구 김해공항 서측, 송정·화전동 일원 등 총 17㎢의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될 수 있게 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 부산은 개발제한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에 묶여 신성장 산업 유치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부산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허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해운대구 53사단 부지에 조성될 첨단사이언스파크는 군사시설 현대화와 지역혁신을 동시에 추진하는 사업이다. 53사단을 압축·재배치해 확보한 부지에 국방 연구·개발(R&D), 하이테크,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모델로,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서구 김해공항 서측에 들어설 제2에코델타시티는 김해공항, 부산신항, 가덕도신공항 배후지와 연계되는 미래 항공클러스터, 디지털테크클러스터, 복합 마이스(MICE) 클러스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 사업을 통해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은 물론, 서부산권 대중교통망 확충 등 지역 균형발전도 기대된다.
송정·화전동 일원에는 공항, 항만, 철도가 연결되는 트라이포트 복합 물류 지구가 조성된다. 가덕도신공항 개항에 맞춰 해상-항공 복합 물류 거점과 전자상거래 특화단지를 구축해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새로운 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해 고부가가치 물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단계별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올해 중으로 국방부에 53사단 이전 협의 요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부산시와 국방부 간 합의각서를 체결해 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2027년 1월부터 53사단 부대 이전과 함께 본격적인 개발사업에 착수한다.
박 시장은 “국방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하겠다”며 “단순한 개발을 넘어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해 시는 국가 첨단산업 육성, 도시 공간 단절 해소, 글로벌 MICE 산업 거점 조성을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첨단 미래 산업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신산업 육성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산업 용지를 확보하고, 연구개발(R&D) 센터, 정보통신, 첨단제조업 등을 육성해 청년층 인구 유입과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직주근접이 가능한 스마트 자족도시를 조성해 지역 활성화와 상주·체류 인구 증가를 도모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이번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해 부산이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허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규제와 도시 기능의 부조화를 과감히 해소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