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불이 난 건물을 수색하다 출입문을 파손한 소방서에 주민이 배상을 요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민들의 기부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시민들은 해당 소방서에 직접 전화를 걸어 기부금을 내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 북부소방서 관계자는 2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날 오전까지 접수된 기부 문의는 14건”이라며 “대부분 일반 시민분들이 연락을 주셨다”고 밝혔다. 친구와 함께 성금을 모았다는 시민, 고생하는 소방관들에게 힘이 되고 싶다는 시민 등 사연은 다양했다고 한다. 이 중에는 전체 배상금을 지불하겠다는 한 기업 대표도 있었다.
다만 소방서는 시민들의 기부금 대신 자체 예산으로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관계자는 “저희 예산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비용이기 때문에 기부금은 마음만 받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걱정해 주신 시민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11일 오전 2시52분쯤 광주 북구 신안동 4층짜리 빌라 2층 가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은 가구별로 문을 두드리며 주민 5명을 대피시켰으나 2~4층 6가구는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어 현관문을 강제로 개방했다. 새벽시간 잠들어 있거나 아직 대피하지 못한 주민들을 구조하기 위해서였다. 이 과정에서 잠금장치(도어록)와 현관문이 파손됐고, 총 800만원에 달하는 배상 비용이 발생했다.
이후 한 주민이 해당 소방서에 배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이 났던 가구의 집주인이 화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데다 화재로 사망하면서 구상 청구 등의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강기정 광주시장은 SNS에 글을 올려 손실보상 예산과 보험제도 등을 통해 시에서 해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 시장은 “화재 현장에 뛰어드는 소방관들이 보상 걱정 없이 구조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행정이 책임지겠다”며 “시민안전을 위해 불길 속으로 뛰어든 용기를 헛되이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