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반얀트리에서 발생한 화재로 6명이 숨진 가운데 경찰은 사망자들이 화재 당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탈출을 시도하던 중 연기에 질식해 사망한 것으로 파악했다.
2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당시 현장에는 35개 업체에서 일하는 약 780명의 작업자가 공사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 중 사망자 6명은 지하층에서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화재가 발생하자 이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1층으로 탈출하려 했다. 하지만 1층은 이미 짙은 연기로 가득 차 있었고, 이들은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졌다.
경찰이 CCTV를 통해 확인한 결과 사망자들은 지하 2층에서 4명, 지하 3층에서 2명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했다. 이들은 각각 지하층에서 1층으로 올라갔지만, 1층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유독가스로 가득 찼다.
부검 결과 사망자들은 모두 일산화탄소에 의한 질식사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사망자들은 화재를 피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했으나, 1층에 도착했을 때 연기가 심하게 차 있었다”며 “일부 사망자는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복도를 따라 약 4~5미터 이동하다가 쓰러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소방 점검 기간 중 화재…스프링클러 작동 확인 중
화재가 발생한 건물은 준공 승인 후 60일 이내에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소방 자체 점검 기간(2월 10~18일) 중이었다. 화재는 이 점검 기간의 4일 차에 발생했다.경찰은 이번 화재와 관련해 스프링클러와 화재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는지 여부를 화재 감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소방 점검 기간 중 화재가 발생했지만,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는 감식 결과에서 확인할 것”이라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거나 화재 감지기가 고장 났는지도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과 소방당국이 함께 진행한 화재 감식 결과는 이번 주 안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경찰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사 범위를 확대하고, 책임자 입건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해당 건물은 지난해 12월 19일 준공 승인을 받았지만, 이후에도 35개 업체가 추가 공사를 진행하며 약 780명의 작업자가 현장에 있었다. 경찰은 준공 이후에도 대규모 공사가 계속된 이유와 인허가 과정에 문제가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준공 승인 후에도 많은 공사가 진행된 이유와 법적 문제가 있었는지 조사 중”이라며 “감리업체가 제출한 보고서에 허위 내용이 있었는지와 인허가 절차에 문제가 있었는지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가능성을,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이미 일부 공사 관계자는 입건된 상태이며, 화재 감식 결과에 따라 추가 입건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화재 원인과 사망자 발생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철저히 밝혀 책임자에게 엄정한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며 “화재 감식 결과가 발표된 후, 다음 주 중 중간 수사 브리핑을 통해 구체적인 수사 상황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