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구리시의 서울 편입 추진에 반발하며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시 이전 절차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리시장이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구리시는 2021년 경기도 공모에서 10개 시·군과의 경합 끝에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돼 토평동 9600㎡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9층, 전체 건축면적 3만㎡ 규모로 GH 본사 건물 신축을 준비해왔다.
GH 이전은 연간 약 80억원의 지방소득세 증대와 655명의 직원 및 연간 1만5000명의 방문객 유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며, 2026년 주요 부서 이전을 시작으로 2031년까지 완료할 계획이었다.
이에 대해 백경현 구리시장은 “서울 편입은 시민 요구에 따라 기초자료를 분석하는 단계일 뿐 결정된 사항이 아니다”라며 “GH 이전 계획이 백지화될 경우 경기도 행정 신뢰가 훼손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경기도, GH와 9차례 실무협의회를 갖고 도시관리계획 등 관련 행정절차도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갑작스럽게 중단을 결정해 당황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경기도의 결정에 대해 구리시의회는 집행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신동화 구리시의회 의장은 “5년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위기”라며 “백 시장은 오는 24일 시의회 임시회에 참석해 GH 이전 절차 중단에 대한 대책을 상세히 설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지난해 9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기자회견에서 “북부 주민과의 약속인 산하기관 이전을 계획대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말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GH 이전 부지 용도를 변경하는 안건을 도의회 동의 조건으로 의결했으나, 일부 도의원들은 서울 편입을 추진 중인 구리시로의 이전이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인접한 도시인 남양주시의회와 시민단체가 GH 이전지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고영인 부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에게도 “구리·김포의 서울 편입 주장이 지방분권 개헌 취지와 맞다고 생각하는가”라며 “지방분권에 역행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구리·김포 서울편입 추진에 대한 포기선언을 조속히 하시길 바란다”고 밝혀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