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보복 전망에 “상관 안 해, 보복하라고 해라”

입력 2025-02-17 09:3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 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부터 전 세계에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에 대해 각국이 보복 관세를 검토하는 것과 관련해 16일(현지시간) “상관하지 않는다”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 팜비치국제공항 등에서 기자들을 만나 유럽연합(EU)이 상호 관세에 대한 보복을 고려한다는 질의에 “괜찮다. 상관없다”며 “그렇게 하라고 해라. 그렇게 하면 그들은 자신을 다치게 할 뿐”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이어 “우리는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 그들이 부과하는 무엇이든 우리도 부과할 것”이라며 “관세가 높은 인도 같은 나라가 우리에게 달러를 부과하면 우리도 같은 달러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것은 공정한 일이다. 미국에 매우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 내부에서도 상호 관세에 대한 우려가 이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백악관이 미국 무역 파트너들에게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시작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심고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공정성’의 문제로 접근하고 있지만, 150개 이상의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수천 종목의 제품에 개별 관세율을 계산하는 것은 미국 제조업체와 소매업체에 엄청난 집행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무역 전문 변호사 테드 머피는 NYT에 “모든 관세 분류 항목당 150개의 서로 다른 관세율이 존재할 수 있다”며 이 같은 복잡은 관세 집행이 실무에서는 ‘헤라클레스급’ 과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