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실이 된 백악관’…화합 이룬 링컨으로 본 기독교 역할

입력 2025-02-14 17:00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워싱턴에서 열린 하원 공화당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AP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백악관 종교자유위원회와 신앙 사무소(Faith office) 등을 설치한다고 밝히면서 기독교적 가치를 중심에 둔 트럼프 행정부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들었던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 사례처럼 기독교의 화합과 중재 역할이 기능하길 소망하는 목소리가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과 힐튼호텔에서 각각 열린 조찬기도회에서 신앙 사무소 책임자에 폴라 화이트 목사를 임명하고, 법무부 장관이 이끄는 반기독교적 편견 행위를 근절할 태스크포스(TF)도 꾸리겠다고 밝혔다.

이런 트럼프 정부의 행보에 제16대 대통령이었던 에이브러햄 링컨(사진)의 백악관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당시 링컨 전 대통령은 피니어스 덴스모어 걸리 목사(뉴욕 애비뉴 장로교회) 등 목회자를 백악관에 초청해 신학적 내용으로 토론을 벌이고 기도를 요청했다. 그의 재임 기간 백악관은 기도실이었다. 남북전쟁 등 국가적 비극 상황을 관통하는 동안 세 번의 구국금식기도회를 선언한 그는 기독교를 바탕으로 국민적 화합을 끌어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종교를 정치 한복판으로 가져온 만큼 기독교의 진정한 가치를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덕만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교수는 1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링컨 전 대통령은 남북전쟁 이후 기독교적 가치를 내세워 사회적 약자인 흑인을 보호하고 국민 전체를 통합시켰다”며 “그 역시 기독교를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했지만, 정교분리 원칙을 따랐다”고 강조했다. 정부 정책에 기독교 가치를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는 자칫 그 사회 내 갈등을 키울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앙이 정치에 활용될 때 화합과 중재라는 기독교 가치가 망가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자칫 그 사회 내 종교갈등, 이념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원규 감신대 종교사회학 명예교수는 “미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이러한 이념과 정치로 인한 양극화는 심화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가 중재자로서 사명을 다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배 교수는 “진정한 기독교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때”라며 “우리가 추구하는 크리스천의 역할이 또 하나의 이익집단으로서 기득권을 갖는 삶인지, 약자에게 복음을 전하고 이들과 함께 살아가며 기독교적 가치를 확산하는 자인지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