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극 해빙 가속화와 글로벌 해상 물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 북극항로 개척 전담 조직(TF)’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부산시는 13일 첫 회의를 열고 전략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지난해 12월 선사,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언론계 등 19명으로 전담 조직(TF)을 구성했다. 이날 회의는 ‘북극항로 허브도시 부산’ 조성을 목표로 ▲국내외 동향 및 연구 결과 공유 ▲북극해 항로 운항 경험 논의 ▲정책과제 개발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회의는 김태유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북극항로 거점항구 유치 필요성과 전략’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북극항로 관련 연구와 운항 경험 발표,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북극항로 관련 발표에는 김엄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북방극지전략연구실장이 각국의 정책 동향을, 이명욱 팬오션 프로젝트영업팀장이 북극항로 운항 경험과 시사점을 공유했다. 이어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실장이 부산시가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
최근 기후 변화와 홍해 사태로 인한 수에즈 운하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북극 해상 운송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북극항로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부산시도 동북아 해운 중심지로서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그동안 정부 주도로 추진된 북극항로 시범 운항 사업을 참고해 구체적인 추진 방향과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올해 중 ‘북극항로 대토론회’를 개최해 전문가들과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한편, 정부의 지지를 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전담 조직(TF)을 중심으로 연구와 논의를 이어가며, 부산이 북극항로의 주요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략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이자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7위 항만으로,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역할을 해왔다”며, “다가오는 북극해 시대를 대비해 부산이 글로벌 물류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