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사업 구조 개편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추진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가 12일 발표한 ‘부산기업의 사업구조개편 추진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매출 상위 300개 기업 중 71%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 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이를 실제로 추진하는 기업은 10곳 중 1곳(12.6%) 남짓에 불과했다.
사업 구조 개편을 추진하거나 검토하는 이유로는 기술개발을 통한 신사업 진출(29.8%)이 가장 많았고, 영위 업종의 경쟁력 약화(28.1%), 새로운 수익원 창출(23.2%), 기존 제품·서비스의 시장 쇠퇴(11.4%)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 대부분(88.1%)이 기존 업종을 유지하면서 신사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는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사업 구조 개편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자금조달 곤란(27.8%)이 꼽혔으며, 신규 거래처 및 판로 확보 어려움(25.7%), 인력 수급 부족(14.3%), 신사업 관련 정보·기술 부족(14.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의 자금·세제·연구개발(R&D) 지원제도에 대해 응답 기업의 80%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사업 재편을 추진하는 기업이 적어 지원제도에 관한 관심이 낮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업 구조 개편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정책자금 지원(26.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신사업 분야 정보 제공(18.1%), R&D 지원(17.0%), 융자 및 세제 지원(12.5%), 거래처 발굴 지원(11.2%) 등의 순이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지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변화에 대응하려면 사업 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라며 “과감한 정책자금 지원과 R&D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