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독교 복음주의자들이 정치적 성향과는 별개로 정부의 정책과 사회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성경적 가치관, 직접적 경험에 우선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여론조사기관 라이프웨이리서치가 지난달 13일부터 21일까지 자신을 복음주의자라고 밝힌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지난 대선에서 카멀라 해리스 후보(33%)보다 도널드 트럼프 후보(61%)를 더 많이 지지했다고 밝혀 보수적 정치 성향을 드러냈다. 하지만 이들의 정치적 성향이 트럼프 정부의 정책을 향한 맹목적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 중 하나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불법이민자들을 추방하는 데 주저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펼치고 있는 ‘무관용 정책’이다. 불법이민 문제 쟁점화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의 핵심 전략으로 꼽힌다.
‘미국 내 이민자 중 추방의 우선순위에 둬야 할 사람’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67%)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63%)을 먼저 꼽았다. 벌금을 낼 수 없는 사람(30%)이나 미국 시민과 결혼한 사람(14%) 등을 추방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는 비율은 낮았다. 사회적 위협 요소가 될 만한 경우가 아니라면 불법 체류자를 추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이다.
이 같은 응답의 바탕은 성경적 세계관과 직접적 경험에 있었다. ‘이민 정책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성경(23%)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일상에서 관찰한 이민자들의 삶(16%) 언론(14%) 이민자와의 직접적 교류(11%) 가족 및 친구(10%) 등이 뒤따랐다.
스콧 맥코넬 라이프웨이리서치 총괄디렉터는 “대다수 복음주의자들은 상식적이고 자비로운 이민 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는 성경의 원칙과도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탄핵 정국 가운데 정치적 성향에 따라 신앙 공동체 안에서조차 첨예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 한국교회 현실이다. 기독교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시기에 성도들이 견지해야 할 자세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박욱주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교수는 11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목회자가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적 소신과 성향을 갖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자신의 정치적 소견을 하나님의 뜻이라 여기고 성도들에게 주입하려는 것은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또 “예배 중이나 교회 내 소그룹 모임에서 사회적 이슈가 언급될 때 성도 스스로 성경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사안을 바라보는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극우’ 진영에서 나오는 메시지가 기독교를 과잉 대표하는 세태에 대한 우려도 높다. 정재영 실천신학대학원대 교수는 “한국교회 성도 중에서도 신앙적 세계관을 토대로 건강하게 통찰력을 갖고 바르게 판단하려는 이들이 많은데 선동적인 메시지가 이를 뒤덮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교회 안에서부터 ‘자기 믿고 싶은 것’만 얘기할 것이 아니라 현상의 본질을 바라보고 하나님께서 이 시대에 무엇을 말씀하시려는 것인 지 얘기 나누는 문화가 필요하다”며 “기도회를 한 번 하더라도 맹목적으로 ‘어떤 결과를 주시옵소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간구하며 자기를 성찰하고 기독교인으로서의 역할을 고민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