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나물 등 임산물,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로 재탄생한다

입력 2025-02-11 13:22
산림청의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 인포그래픽.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먹거리 임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국가공동상표를 개발하고 잔류농약 검사 등 안전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먹거리 임산물은 임산물 가운데 식용이 가능하거나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식물·버섯류와 그 부산물이다. 각종 영양소와 약리적·기능적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지만 농·축·수산물에 비해 기호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해 소비량이 저조하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인 ‘숲푸드’를 개발해 임산물 소비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숲푸드 대축제’ ‘숲푸드 위크’ 등 대국민 소비 촉진 캠페인을 실시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지역축제와 연계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또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다각화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임산물의 기능성·약리성을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보다 안정적인 임산물 공급을 위해 생산자의 조직화·규모화도 이뤄진다. 품목별 자조금 조직을 지원해 생산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스마트임업 기술과 관련 장비를 적극 도입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시설재배 보조금 지원 대상도 확대한다.

임산물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됐다. 제약·건강기능식품 산업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산림약용소재를 적극 발굴하고, 산양삼·초피 등 해외시장 경쟁력이 높은 유망 임산물을 중심으로 상품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한다.

특히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숲푸드에 등록된 임산물의 잔류농약 검사 및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와 같은 농식품분야 인증 관리도 강화된다.

숲푸드 등록 대상은 표고버섯·산나물·감 등 먹거리 임산물 91종이다. 산림청은 올해 관련 제품을 300개 등록하고 2030년까지 1500개 제품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임 청장은 “임산물 소비가 증가하면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보전을 실현할 수 있다”며 “국민과 임업인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산림청과 산림조합중앙회는 다음달 5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대한민국 산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이날 임산물·목재 생산 등 산림자원을 활용한 소득 증대 방안, 각종 산림경영 지원제도 등 산주와 임업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임업정보를 안내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14일까지 대한민국 산주대회 QR코드에 접속하거나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소득지원팀을 통해 유선으로 하면 된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