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올해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1019억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업 대상지는 도내 인구 감소 지역 10개 시·군(정읍, 남원, 김제,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과 인구 감소 관심 지역(익산)이다.
도 기금 14개 사업에는 193억 원, 시‧군 기금 50개 사업에는 826억 원이 지원된다.
전북자치도는 ‘살고 싶은 전북’ ‘머물고 싶은 전북’ ‘행복한 전북 달성’을 목표로 임신, 출산, 생활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기로 했다.
먼저 공공산후조리원과 결혼부터 보육까지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아복합센터 건립을 추진한다. 도민의 의료 사각지대 해소와 더 나은 출산 환경이 목적이다.
또 농촌유학 가족 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청년 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등 사업으로 청년 주거 환경을 개선한다.
지역활력타운 사업으로 은퇴자가 평안한 생활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이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방소멸대응기금은 2022년 882억원, 2023년 1176억원, 2024년 1021억원, 2025년 1019억원을 확보해 총 4098억원이다.
대표적으로 어린이 자연 체험으로 정서 발달을 돕는 ‘유아숲 체험원 사업’, 지역 청년 농업인의 정착을 돕는 ‘스마트팜 패키지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각 시‧군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제시는 ‘귀촌청년 로컬재생 복합문화 조성사업(2024~2025년)’을 통해 농촌 유휴 시설을 청년들의 문화 거점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사업은 2024년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정읍시는 소아외래진료센터를 상반기부터 운영 예정이다. 소아청소년과가 없어 인근 전주, 광주 등을 찾아가야 했던 서남권 지역민의 의료 접근성이 높아져 아동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보육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익산시는 ‘취업-주거-돌봄’으로 이루어지는 청년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층의 정착을 돕고 있다. 청년·신혼부부 익산형 주거사다리 구축 사업 등에 힘입어 지난해 익산시 출생아 수는 57명 증가했다.
천영평 전북특별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방소멸기금을 활용해 전북을 ‘사람이 모이는 지역’으로 변화시켜 인구 감소 위기를 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