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X는 왜 벼랑 끝에서 ‘테디’ 박진성에게 세나를 맡겼을까.
DRX는 9일 서울 종로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컵 플레이-인 3라운드 경기에서 농심 레드포스에 1대 3으로 패배했다. 이날 패배로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돼 대회에서 조기 탈락했다.
DRX가 가장 크게 무너진 건 4세트였다. ‘기드온’ 김민성의 뽀삐를 이용한 공격적인 플레이에 ‘스펀지’ 배영준이 초반부터 휘둘리면서 게임의 주도권을 내줬다. 결국 바위게와 유충 싸움에서 배영준이 연이은 데스를 기록하면서 승부의 추가 완전히 넘어갔다.
DRX의 1옵션인 박진성이 딜링보다 운영에 강점이 있는 세나를 뽑은 상황이었기에 역전의 발판을 만들기도 힘들었다. 반면 농심은 ‘지우’ 정지우(아펠리오스)의 성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제 궤도에 올랐다. 양 쪽 원거리 딜러 간 성장 차이가 급격히 벌어졌다.
왜 박진성에게 세나를 맡겼을까.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DRX의 4세트 밴픽에 대한 생각을 들어볼 수 있었다. 김상수 감독은 “세나 픽의 스크림 성적이 아주 좋았다. 박진성이 잘 다루기도 했다”면서 “전반적으로 좋은 영향력과 빠른 속도를 가진 픽이라고 생각해서 골랐다”고 밝혔다.
박진성은 자신이 게임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세나를 뽑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세주아니가 초반에 말리고 시작해서 우리에게 강가 쪽 주도권이 너무 없었다. 주도적으로 게임 할 수 있는 상황이 이미 나오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뽀삐라는 챔피언의 티어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 게 운영적인 변수로까지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리헨즈’ 손시우가 뽀삐를 선호하지 않는다”며 “뽀삐 티어가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다. 우리 생각보다 운영적으로 틀어진 게 제일 아쉽다”고 말했다.
피어리스 드래프트인 만큼 4세트부터는 원거리 딜러 선택의 폭이 급격도로 좁아지기도 했다. 특히 이날은 양 팀 모두 1페이즈에서 상체를 완성시키는 전략을 고수하면서 2페이즈 밴에서 원거리 딜러 밴이 추가로 들어갔다.
농심 역시 원거리 딜러 픽을 놓고 고심하긴 마찬가지였다. 박승진 감독은 “4세트 당시 살아 있는 원거리 딜러 중에서 케이틀린이나 미스 포춘 정도가 높은 티어의 챔피언이었다. 서로 좋아하는 챔피언이나 조합 완성도를 고려하다 보니 바텀을 4·5픽으로 내렸다”면서 “원거리 딜러가 부족해서 아펠리오스까지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윤민섭 기자 fla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