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시와 농촌 간 격차를 줄이겠다며 지방의 병원과 종합봉사소 건설에 나섰다. 북한의 부족한 자원 등을 고려하면 보여주기식 정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 노동신문은 7일 지방발전 20×10 정책의 하나로 만든 평양시 강동군 병원과 종합봉사소 건설 착공식이 전날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행사에 참석해 “도농격차가 가장 우심(극심)하게 나타나는 공간이 바로 보건과 위생, 과학교육 분야”라며 “의료 일군들에 대한 기술전습을 실속 있게 조직하여 병원이 개원하면 치료사업을 원만히 할 수 있게 준비시키고 기술자, 기능공들도 각자 맡은 분야에 정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동군에는 병원 외에 종합봉사소도 마련됐다. 이는 남한의 스타필드와 같이 쇼핑, 영화관 등 문화·여가 생활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주민들이 영화 관람도 하고 체육·문화생활도 할 수 있는 시설들과 위생 환경이 보장된 상업망들, 기타 각종 편의시설까지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발전 20×10 정책은 김 위원장이 지난해 연초부터 매년 20개 시군에 현대적인 공장 10개를 건설해 지방 문화생활 수준을 끌어올리겠다고 만든 방안이다. 지난해부터 계속해서 지방공장 착공에 나섰고 올해 초부터는 연일 지방공장 준공식을 진행했다.
여기에 더해 김 위원장은 지난해 9월경 지방공장뿐만 아니라 보건, 문화 시설, 양곡 관리를 강조했다. 이번에 병원과 종합봉사소 건설을 시작하면서 도농 격차를 줄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정책이 지역에서 나오는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일종의 ‘쇼맨십’이라고 설명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김정은의 말을 잘 보면 지방발전 정책에 은근슬쩍 보건, 문화, 양곡의 내용을 추가했다”며 “김정은이 현지 상황을 알지 못하고 말 한마디로 지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도 “문제는 지어놓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기능을 제대로 하는 것”이라며 “지난해까지 주력했던 지방공장부터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부족한 자원 등을 고려할 때 얼마나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향후 동향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