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지자체들이 미래세대인 청년들을 위한 주택정책을 잇따라 펼쳐 주목받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는 6일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자 월 임대료가 1만원인 청년만원주택 사업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년 세대의 보호와 지원은 미래 지방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자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초석”이라며 “‘청년이 곧 전주의 미래’라는 믿음으로 청춘들의 희망과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청춘별채’로 명명한 이 사업을 통해 올해 원룸·투룸·쓰리룸 등 모두 82호가 공급된다. 주택 형태에 따라 1만∼3만원의 임대료만 부담하면 된다.
시는 방 한 개에 민간 주택 월평균 임대료(43만원)의 2% 수준에 불과한 1만원의 임대료를 산정했다. 보증금은 50만원이다.
입주 대상은 전주에 살거나 살기를 원하는 19∼39세 무주택 미혼 청년이다. 입주 기간은 2년이며, 입주 중 결혼하면 최장 20년까지 살 수 있다.
시는 2028년까지 총 210호까지 늘릴 방침이다. 가구별로 세탁기와 냉장고, 에어컨 등이 설치된다.
우 시장은 “월 임대료 1만원이라는 금액은 경제적 수치를 넘어 민생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주시의 확고한 의지”라며 “청년들이 돌아오고 찾아와 새로운 전주로 도약할 기회로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청년·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반값 임대료로 주택을 공급하는 ‘반할주택’ 정책을 전국 최초로 시행중이다.
이 정책은 최초 입주 때 임대료를 절반만 내고, 아이를 낳으면 임대료 전액을 면제해준다. 또 10년 임대 후에는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 전환한다.
전북도는 인구 감소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5개 단지 총 500가구를 지을 계획이다. 여기에 청년과 신혼부부가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때 임대보증금을 최대 5000만원까지 무이자로 빌려준다. 청년은 3000만원, 신혼부부는 5000만원까지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