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이 변수…7조8000억 KDDX, 4월 안에 윤곽 나온다

입력 2025-02-06 10:00 수정 2025-02-06 10:00

7조8000억원이 투입되는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이 늦어도 4월에는 최종 사업자 선정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추진위원장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내란죄로 구속된 상황에서 KDDX 사업 계획 이행 또한 미뤄질 수 있다는 게 업계 관측이었지만, 더 늦추기는 어렵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KDDX 생산능력을 갖춘 방산업체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모두 지정했다. KDDX는 2030년까지 6000t급 이지스함 6척을 건조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선체부터 탑재되는 각종 전투체계와 레이더까지 모두 국내 기술이 적용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국내 방산 기술을 알릴 기회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함정 사업은 기본적으로 개념설계-기본설계-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후속함 건조 순으로 진행된다. 방위사업 관리 규정에 따라 함정의 기본설계를 수행한 업체가 상세설계와 선도함 건조를 맡는다. 그러나 개념설계를 수행한 한화오션이 지난해 4월 방산업체 지정을 신청하며 양사 간 갈등이 불거졌다. KDDX 사업의 경우 개념설계는 2012년 한화오션(당시 대우조선해양)이, 기본설계는 2020년 HD현대중공업(당시 현대중공업)이 수주했다. 상세설계와 선도함 건조를 두고 법정 다툼까지 벌였지만 지난해 말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갈등을 봉합하는 데 앞장서고, HD현대중공업이 경찰 수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으면서 일단락됐다.

산업부가 KDDX 생산능력을 갖춘 방산 업체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복수로 지정하면서 최종 사업자와 사업 방식 결정권은 다시 방사청으로 돌아갔다. 방사청은 3월까지 사업 추진 방안을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 상정하고, 방추위는 심의를 거쳐 최종 사업자와 사업 방식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조기 대선’이 변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3월 내로 마무리될 경우 조기 대선 국면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기 대선이 진행될 경우 새 정부가 들어서고 내각이 구성되는 시점까지 최종 사업자 결정이 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조기 대선과 무관하게 일정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한 업계 관계자는 “KDDX는 우리 해군의 전력화 일정이랑 맞물려 있다. 이미 1년 정도 늦어진 상황”이라며 “정권이 바뀐다고 KDDX 사업에 변동이 생기는 것도 아니니 4월 내로 처리하자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방사청이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에 공동 설계를 맡길 가능성도 나오지만 업계에서는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본다. 방산 업계 관계자는 “신현승 방사청 함정사업부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방사청 주관 토론회에서 ‘공동 설계는 지금까지 시도된 적이 없어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고 말한 만큼 공동 설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