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정치성향 다른 사람과 연애·결혼 안 해”

입력 2025-02-05 16:56
국민일보DB

국민 10명 중 9명은 진보와 보수 간 정치적 갈등을 가장 심각한 사회 갈등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는 연애나 결혼할 뜻이 없다는 답변도 58.2%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가 5일 공개한 ‘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국민 인식 조사 응답자의 92.3%는 여러 사회갈등 중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여겼다. 이는 보사연이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보사연은 2023년 6~8월에 성인 남녀 3952명을 상대로 관련 면접 조사를 진행했다.

그 다음으로 정규직·비정규직 갈등(82.2%), 노사갈등(79.1%), 빈부갈등(78.0%), 대기업·중소기업 갈등(71.8%), 지역갈등(71.5%) 순으로 심각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어 주택소유자와 비(非)소유자 간 갈등(60.9%), 세대 갈등(56.0%) 다문화 갈등(54.1%), 남녀 간 성 갈등(46.6%)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갈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래 삶의 불확실성 심화’(25.65%)와 ‘사회계층 간 이동성 단절’(23.22%)을 많이 꼽았다.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책임 부족’(17.09%) ‘미디어(SNS)의 발달로 인한 가짜뉴스 전파’(10.79%) ‘혐오와 차별의 정서 확산’(10.14%) ‘상호 간의 신뢰 부족’(8.54%) ‘이기적 집단주의의 팽배’(4.58%) 등이 뒤를 이었다.


정치 영역 갈등은 다른 사람과의 교제 의향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1.41%는 자신과 정치 성향이 다르면 함께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연애나 결혼할 의향이 없다는 답변도 58.2%로 절반을 넘었다. 33.0%는 정치 성향이 다른 친구·지인과 술자리를 같이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사회갈등을 해결할 주체는 정부가 56.01%, 국회 및 정당이 22.4%로 정치권이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러나 해결 주체 1위로 꼽힌 행정부(대통령실, 중앙정부, 지방 자치정부 등)에 대한 신뢰도는 41.9%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2위인 입법부(국회)에 대한 신뢰도도 22.6%로 매우 낮았다.

향후 한국 사회의 사회갈등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 65.09%가 지금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보다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보는 사람도 28.25%였다.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6.66%에 불과했다.

10년 후 우리 사회에서 심각해질 사회갈등 유형과 관련해서는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87.66%로 1위에 올랐고, 빈부갈등(79.95%), 노사갈등(75.84%), 정규직과 비정규직 갈등(73.43%) 순이었다.

연구진은 “사회갈등을 완화하려면 갈등 당사자와 이해관계자, 시민이 사회갈등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청렴 문화 확산을 통한 정부 신뢰를 높이고, 정치 성향이 다른 사회 구성원과의 소통 채널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언도 덧붙였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