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서 평균 286만원 썼다…“정부 지원 늘면 조리원비도 올라”

입력 2025-02-05 16:50
국민일보DB

경기도에 사는 A씨는 2023년 첫 아이를 낳고 집 근처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 2주간 지출한 산후조리원 비용은 380만원이었다. 정부가 지원하는 첫만남 이용권(바우처) 200만원이 모두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들어갔다.

A씨는 “공공 산후조리원은 대기가 1년이 넘어 민간 조리원을 알아볼 수밖에 없었다”며 “서울 지역은 보통 400만원이 넘었고, 경기도도 병원과의 접근성이나 소아과 의사의 회진 횟수 등에 따라 견적이 올라갔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출산 지원을 계속 늘리고 있지만 조리원도 그에 맞춰 비용을 올리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5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출산한 산모의 85.5%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 지난해 9~10월 3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한 결과다.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2018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고 있다.

산후조리원 이용 기간은 평균 12.6일이었다. 이용 비용은 평균 286만5000원이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2018년 220만7000원에서 2021년 243만1000원으로 20만원 이상 올랐고, 3년 만에 다시 40만원 넘게 증가했다.

정부는 2022년부터 출생 아동당 200만원의 첫만남 이용권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둘째 자녀 이상은 바우처 혜택을 300만원으로 상향하는 등 지속적으로 출산 지원을 확대하는 중이다.

그러나 일부 산후조리원이 정부 정책에 맞춰 비용을 올리면서 산모들의 경제적 부담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2월 서울시 조사 결과, 민간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비용은 478만원에 달했다. 반면 공공산후조리원의 평균 이용요금은 230만원 수준이었다.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자료 이미지. 뉴시스

2022년에 출산한 B씨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않을까 고민도 했지만, 첫 아이다보니 경험이 없어서 산후조리원에서 가르쳐 주는 것에 많이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며 “둘째를 낳는다면 최대한 경제적으로 산후조리를 계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0.9%는 산후조리원을 ‘가장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로 꼽았지만, 2018년(75.9%)과 2021년(78.1%)에 비해서는 선호율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한 정부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산후조리 경비 지원(60.1%, 중복응답)’을 꼽은 답변이 가장 많았다. 그 외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37.4%)’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22.9%)’가 뒤를 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산후조리원 요금 상승은 임대료·인건비 상승과 물가 상승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며 “다만 조리원에 대한 의무적 평가를 진행해서 국민에게 알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조만간 공공 산후조리원부터 시범 평가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공공 산후조리원을 늘리기 위한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해 “현행법상 공공 산후조리원의 건립 주체는 광역 시·도장을 포함한 지자체장으로 돼 있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