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9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첫 통화정책회의에서 연준이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 맞서 동결을 택한 것이다.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뒤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3.0%)과 미국 간 금리 차는 상단 기준으로 1.50%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은 성명에서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으며, 노동시장 상황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 3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인하했지만 새해 첫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그동안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 인사들의 발언과 경제지표 등을 토대로 연준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제롬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리) 조정 여부를 고려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거나 노동시장 약세 (신호)를 봐야 한다”며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선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세계경제포럼(WEF) 화상연설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한 바 있다. 또 “내가 그들(연준)보다 금리에 대해 훨씬 더 잘 알고 있다”며 파월 의장을 겨냥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이와 관련 “ 대통령이 한 발언에 대해선 어떠한 답변이나 논평도 하지 않겠다. 그게 적절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취임 이후에도 “접촉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CNN은 “(금리 동결은) 연준 정책에 대해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해온 대통령과 연준 사이에 긴장을 고조시킬 가능성이 있는 조치”라고 전했다.
실제로 트럼프는 기준금리 동결 발표 약 2시간 이후 연준을 향한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트루스소셜에 “제이 파월(연준 의장)과 연준은 자신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초래한 문제들을 멈추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연준은 은행 규제와 관련해 형편없었다”며 “재무부가 불필요한 규제 감축을 위한 노력을 주도하고, 모든 미국인과 사업자들을 위해 대출을 풀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연준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와 젠더 이데올로기, 청정에너지, 가짜 기후변화에 시간을 덜 썼더라면 인플레이션은 절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우리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으로 고생했다”고 적었다. 트럼프가 금리 동결을 직접 비판하지는 않았지만 연준에 대한 불신과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