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화 재개 신호에 호응하지 않고 핵 대응 태세를 무한히 강화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정은 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지도하고 현행 핵물질 생산실태와 전망계획, 2025년도 핵무기연구소의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료해(파악)했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인 방문 날짜는 공개하지 않았다.
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지도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가장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적대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다.
김 위원장은 “위협과 새롭고 전망적인 안보위험성에 대비하고 국가의 주권, 이익, 발전권을 담보하려면 핵방패의 부단한 강화가 필수불가결하다”며 “우리 국가의 핵대응태세를 한계를 모르게 진화시키는 것은 우리가 견지해야 할 확고한 정치군사적 입장이며 변함없는 숭고한 의무이고 본분”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적수들을 철저히 제압하고 정세를 주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절대적 힘은 그 어떤 선언이나 구호가 아니라 실제적으로 가용한 물리력의 비축, 기하급수적인 증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앙양된 기세를 더욱 고조시켜 무기급핵물질생산계획을 초과수행하고 나라의 핵방패를 강화하는데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하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핵기술 역량에 대해 “우리 당과 국가와 인민의 비길 데 없는 자존심이고 도도한 기상의 상징”이라며 “힘을 통한 평화, 힘을 통한 안전 보장이야말로 가장 정정당당한 우리의 투쟁방식이고 선택이고 철리”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당 제8차 대회가 핵무기 연구 및 생산 부문에 제시한 5개년 기간의 과업들이 완벽하게 수행돼야 한다”며 “핵 무력 노선을 관철해나가는 과정에서 중대 분수령이 되는 관건적인 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다시 대화하겠다고 밝힌 지 6일 만에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 신호에 당장은 응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취임식 직후 “그(김 위원장)는 핵을 갖고 있다. 그는 내가 복귀한 걸 좋아할 것”이라고 말한 데 이어 23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김정은과 다시 연락을 취하겠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