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광역비자로 외국 인재 확보... 조선업 인력난 해소 기대

입력 2025-01-26 11:47

울산시가 울산형 광역비자를 도입해 외국인 인재 확보와 노동력 감소 문제 해결에 나선다. 울산시는 오는 3월부터 지역 산업계에 외국인 인력을 공급할 ‘울산형 광역비자’가 시행된다고 26일 밝혔다.

광역비자는 광역 시·도가 필요로 하는 외국 인력의 대상, 체류 자격, 활동 범위를 설계하면 법무부가 승인해 발급하는 제도로, 지역 수요에 맞는 맞춤형 비자 설계가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2026년까지 2년간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울산형 광역비자는 유학 비자(D-2)와 특정활동 비자(E-7)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조선업 인력난 해소에 초점을 맞춰 일반기능인력(E-7-3) 비자의 임금 요건을 최저임금 이상으로 설정하고, 자국에서 기술 교육을 받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발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우즈베키스탄, 태국, 베트남 3개국에 교육 센터를 운영하는 지역 조선 업체에 10억원의 운영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울산형 광역비자는 유입형 비자(E-9, E-7) 확대와 정주형 비자(F-2, F-4, F-5) 촉진을 통해 지역 맞춤형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가족 단위 지역 이주를 유도하고,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과 지역 주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

울산시는 지난해 7월 제7차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광역비자 도입을 건의한 데 이어 외국 정부와 협력을 추진해 왔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빈곤퇴치고용부와 협약을 체결하며 인적자원개발 공동 협력을 확대했다.

시는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에서도 교육 센터 운영을 검토 중이다. 향후 제조업뿐만 아니라 농어업, 서비스업, 유학생 가족, 창업 분야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또 비자 및 외국인 관리를 종합적으로 담당할 전문기관 신설도 추진 중이다. 전문기관을 통해 외국 인력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형 광역비자가 지역 경제와 인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외국 인력의 성공적인 유입과 정착을 위해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