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보스포럼 화상 연설에서 관세를 언급하며 “내 메시지는 매우 간단하다. 미국에 와서 제품을 생산하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진행 중인 세계경제포럼(WEF)에 화상으로 연결한 연설을 통해 “우리는 지구상 어느 국가보다 낮은 (법인) 세율을 적용하겠다.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는 것은 여러분의 권리겠지만, 그렇다면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관세는 우리(미국)의 경제를 강화하고 부채 청산에 필요한 수천억 달러, 심지어 수조 달러를 재정에 보태게 될 것”이라며 “일자리를 만들고, 공장을 세우고, 기업을 육성하는 데 미국보다 좋은 장소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행 21%인 미국의 법인세율을 15%로 내릴 계획을 밝히면서 외국 기업의 경우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만 인하된 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 인하를 요청하겠다”며 “유가가 내려가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바로 끝날 것이다. 지금의 유가는 전쟁을 지속할 만큼 높다.유가를 내리면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가가 내려가면 금리를 즉시 내리라고 (중앙은행에) 요구하겠다. 세계에서도 금리가 내려야 한다. 우리를 따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에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할 것이며 다른 주요 경제권 중앙은행들도 따라와야 한다는 얘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을 마친 뒤 패널들과의 대담에서 대미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들을 비난했다. 특히 유럽연합(EU)을 향해 “미국이 수천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 누구도 행복하지 않으며 우리는 이에 대해 무언가를 실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EU는 우리를 불공정하고 나쁘게 대한다. 그들은 우리의 농산물과 자동차를 사지 않으면서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수출한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EU의 과징금 부과를 언급하며 “EU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내가 보기에는 일종의 세금이다. 우리는 EU에 매우 불만이 크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