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체포 저지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대통령경호처 김성훈 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24일 경찰에 다시 출석했다. 경호처 내 강경파로 꼽히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각각 오전 7시23분, 7시21분쯤 서대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출석했다.
김 차장은 조사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이광우 본부장이 관저에 기관단총 배치 사실을 인정했는데, 직접 지시했는가’를 묻는 질문에 “이미 말했지만, 그런 사실이 없다. 관내에 배치한 것이 아니라 평시에 배치돼 있는 총”이라고 답했다.
진보단체의 관저 침입 첩보로 총기를 배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는 “동일한 건물 내에서 (총기) 위치만 이동된 것”이라며 “평시에도 항상 배치돼 있는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그러면서 “직접 지시하지 않았다. 경호본부장이 지시했다고 국회에서 증언됐다”고 설명했다.
‘배치를 옮겼다는 건 총기 사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인지’ 물음에는 “경호관은 늘 총기를 휴대한다.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기에 대비하기 위한 거지 그(총기 사용) 일환으로 생각하시는 건…(틀리다)”고 답했다.
김 차장은 이어 윤 대통령 체포 당시 소극적으로 임한 경호처 직원들에 대해 “업무배제한 사실 없다. 복귀해서 정상 근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화폰 삭제 지시 의혹에 대해선 “비화 전화기 특성상 이틀마다 자동 삭제된다. 제가 지시할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광우 본부장은 ‘체포 저지를 주도한 혐의를 인정하느냐’, ‘기관단총과 실탄을 배치한 이유가 무엇이냐’, ‘비무장 시민을 상대로 기관총 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 등 취재진 질문에 모두 대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본부장은 전날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2차 체포영장 집행 나흘 전인 11일 “불법 체포조 정보에 따라 관저 내부 가족 데스크로 MP7 2정을 배치해 경계 경비를 강화했다”며 기관단총 배치를 사실상 인정했다. 또 “경호처는 대규모 불법단체들의 관저 침입을 대비해 경호 매뉴얼대로 경계근무를 강화했다”며 공수처가 아닌 시위대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1차 집행을 저지한 혐의로 지난 17일과 18일 각각 경찰에 체포된 바 있다. 경찰은 18일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에서 이를 반려하면서 김 차장을 석방했다. 이 본부장 역시 19일 석방돼 두 사람 모두 경호 업무에 복귀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